국민의힘 박형수(경북 영주·영양·봉화·울진) 의원은 16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진·삼척에서 일어난 산불 피해에 대해 정부는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대책을 수립하고 조속히 이행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박 의원은 “현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과 국토부 고시(사회재난 생활안정지원 항목별 단가) 등에 의한 주거비 지원규모는 주택 전파시 1600만원, 반파시 800만원이 전부”라며 “정부는 당장 고시 등 관련 규정을 개정해 현실적인 주거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또 “주거내 가전·가재도구와 차량·트랙터·농기계 등 물건 피해에는 지원이 불가능한 현행 규정은 고쳐야 한다”며 “집과 함께 고가의 가전제품, 가재도구, 차량 등이 모두 불에 탔어도 현행 규정상으로는 지원이 안 되고, 농기계창고가 불에 탔어도 창고 복구만 지원되고 트랙터나 농기계는 지원이 되지 않는 불합리한 현행 규정은 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이재민 주택복구를 위한 지원은 최대한 국비지원을 원칙으로 하되, 금융 지원을 하게될 경우 무이자로 진행돼야 한다고 요청했다.박 의원은 “정부는 자가주택 복구를 희망하는 이재민에게는 연 1.5%의 금리로 최대 8800만원까지 융자해주겠다고 한다”며 “일정한 수입이 없는 고령의 노년층이 많은 피해지역의 특성상, 국비 직접 지원이 아닌 금융 지원을 하게 될 경우 해당 융자 기간 만료시 대출금을 갚지 못하여 재산권을 잃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박 의원은 “최대한 국비 지원을 원칙으로 하되, 피치 못하게 금융 지원으로 간다 해도 무이자로 대출받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박 의원은 피해 복구를 위한 정부 예산 투입도 강조했다. 그는 “이재민 피해와 서울 면적 42%에 달하는 2만5000ha 산림피해 등 모든 피해의 조속한 복구를 위해 정부는 가용 예산을 전부 투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예비비도 투입해야 한다”며 “올해 편성된 부처별 재난대책비는 행정안전부 1000억원, 산림청 500억원, 농림축산식품부 2000억원 등이며, 이와 별도로 2조1000억원의 목적예비비가 남아 있다”고 밝혔다.지자체의 재정부담도 덜어줘야 한다는 제안도 했다. 박 의원은 “피해지역에 대한 주거비, 생계비 등 일체의 생활안정지원금은 지자체가 전체 금액 중 적게는 30%, 많게는 50%까지 부담해야 한다”며 “열악한 지방재정을 고려할 때, 이러한 부담비율은 지방재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정부는 빠른 시일내에 산불피해지역에 재난특교세를 비롯한 특별교부금을 최대한 배정해 지방 재정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촉구했다.박 의원은 “정부의 현재 규정에 따른 지원으로는 소실된 주택을 복구하는 데만도 턱없이 부족해 국민의 성금 등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계속 많은 관심과 응원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