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3일 지명됐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국정운용을 뒷받침할 행정부의 제2인자로 경제·관리형 총리에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또 노무현 정부 때 경제부총리와 국무총리를, 이명박 정부 땐 주미대사를 역임한 한 총리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에도 여야를 막론하고 무리가 없을 인물이라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한 후보자는 경제와 외교를 통솔할 적임자라는 평가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경제와 안보의 결합이 중요해진 상황인 만큼 '글로벌 경제 안보' 사령탑으로 적합하다는 것이다.한 후보자는 행정고시로 공직에 입문해 통상산업부 차관, 국무조정실장, 국무총리 등을 지낸 만큼 관료 시절 다양한 경륜을 바탕으로 각 부를 통할하고 부처간 이견을 조정하는 '관리형 총리'로서의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각에선 차기 정부가 외교안보 강화를 국정운용 방향에 설정해 두고 있다는 점에서 한 후보자의 인선을 긍정적으로 검토했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윤 당선인이 집권 초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노린 것이라는 분석도 정치권에서 나온다.한 후보자는 전북 전주 태생의 호남 출신이지만 정파색이나 지역색이 상대적으로 옅은 편이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할 경우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에서 국민화합을 도모할 만한 상징적 인사가 될 수 있다.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대선 때 약속한 책임총리제를 이행하느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대통령의 막강한 권력을 내려놓고 총리와 장관에 권한을 부여해 내각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게 윤 당선인의 구상이었다. 이는 입법부보다는 행정부의 영향력을 더 높이겠다는 포석으로 여소야대 정국에서 국회에 의존하기 보다는 내각 중심의 국정운영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됐다.그러나 한 후보자를 두고 총리가 의사결정도 하고 책임도 함께 지는 '책임형 총리'로 분류하진 않고 있다. 유승민, 홍준표, 원희룡과 같은 리더십이 강한 인사들과 달리 한 후보자가 강한 카리스마로 내각을 장악하기에는 거리감이 있다는 얘기다.한 후보자가 국회 청문회 문턱을 넘고 총리로 임명되더라도 윤 당선인의 책임총리제 실천 의지가 희박하면 지금처럼 청와대 오더를 받고 대통령을 보필하는 정도의 역할에 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한 정치권 인사는 "한덕수 전 총리는 관리형·경제형 총리에 가까워 보인다. 책임형 총리는 아닌 듯하다"며 "윤석열 당선인 기조가 책임총리를 하겠다는 것이라 결국 대통령 의중이나 실천이 중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이 인사는 "윤석열 당선인이 초기엔 알아서 잘 해보라고 총리에게 맡기지 않겠나. 총리도 장관들에 알아서 잘 해보라고 맡기고, 카리스마형 총리가 혼자 결정하는 것보다 총리도 장관들에 권한부여를 해주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