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 물가안정대책이 헛구호에 그쳐 서민경제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26일 시는 국제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 등에 따라 개인서비스 요금과 지방 공공요금 안정화를 경제 정책의 우선순위에도 불구하고 물가대책반 구성은 물론 각종점검 사항이 공염불에 지나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물가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책 마련이 시급함에도 물가모니터 요원등 물가조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형식적인 자료에 불과하다. 시는 상반기에 버스요금, LPG, 미용료, 음식점등을 대부분 올려 놓은 상태이다. 오는8월부터 버스요금인상이 200원이 더 추가되는데다 7000원하는 컷트머리가 1만원되고 식재료등 음식점요금이 1000원에서 3000원까지 올려 받고 있는 상태다. 특히 경주지역은 여름철 찾는 관광객들이 증가함에도 관광·행락철 물가안정 대책은 없어 물가만 치쏫고 있다. 오는 8월 성수기를 맞는 국립공원·해수욕장·유원지·계곡 에는 행락인파가 집중될 것으로 보여 물가지도 점검반이 없어 상거래 행위가 물란해 질것으로 보인다. 음식점·매점·숙박업소·피서용품 대여점 등에 바가지 요금, 자릿세, 가격표 미게시 및 표시요금 초과징수 행위 등을 점검하고, 위조상품 취급 등 집중점검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주시 황성동 김모씨(47)는 물가안정화 방안으로 공공요금을 동결하겠다고 해놓고 가스, 버스요금, 미용료. 음식점등이 대부분 요금이 인상돼 서민을 울리고 있으며 공공요금과 개인서비스요금 지도점검이 실질적으로 기존 자료에만 치우쳐 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내버스요금, 상·하수도료, 쓰레기봉투료, 정화조 청소료 등 공공요금에 대해서도 인상시기를 분산하거나 인상폭의 최소화를 시급하다고 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관광·행락철 물가대책 계획에 의거해 물가안정 지도점검을 강화하고 업무관련 개인서비스업 협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가격 안정을 적극 유도하겠다고 했다. 이인호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