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 빗길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대한민국 운전자라면 빗길 운전을 피할 수는 없다. 특히 장마철이면 빗길 운전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빗길 운전시에는 교통사고 위험이 평상시보다 20%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운전의 어려움 정도는 눈길 운전이 빗길 운전보다 더 어렵다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빗길 사고의 치사율이 더 높은 것은 빗길 운전의 위험성에 대한 운전자의 경각심이 적기 때문일 것이다. 빗길 운전이 위험한 이유는 시야 부족, 제동 거리 연장, 수막현상으로 볼수가 있다. 쏟아지는 비로 인해 평상시 운전할 때 보다 전·후방 가시거리가 현저히 줄어들고 폭우가 내릴 때에는 내리는 비 때문 뿐 아니라 앞차나 옆차가 고여 있는 물을 치고 나가면서 시야가 완전히 닫길 때도 있다. 비가 올 때 또는 젖어 있는 노면에서의 제동 거리는 평소에 비해 10% 정도 늘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수막현상은 타이어와 도로면 사이에 물이 차는 현상으로 타이어의 접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동 거리가 길어 질 뿐 아니라 특히 조심 해야할 것은 핸들의 제어력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핸들 제어가 안 되기 때문에 차가 도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고 큰 사고로 이어 질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현상이다. 수막현상으로 인한 사고가 특히 위험한 것은 운전자가 수막현상이 일어 나고 있음을 사전에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빗길 운전에는 수막현상의 위험이 언제나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평소 보다 속도를 늦추어 감속 운전하고 권장 되고 있는 것은 평소의 운전 속도보다 20%를 낮추는 것이다. 감속 운전을 함으로써 제동 거리가 줄어 드는  것에 대해 대응을 할 수 있고, 수막현상이 일어 나는 것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또한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는 속도를 더욱 낮출 필요가 있는데, 직선 구간 보다 곡선 구간에서 사고가 날 경우 치사율이 세 배 가까이 높다고 한다. 과속을 하지 않더라도 오래 동안 빗길을 운전하다 보면 수막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곡선 구간에 들어서면서 핸들 통제가 잘 안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곡선 구간에 들어가기 전 감속은 기본이지만 감속 할 때 펌핑 브레이크(브레이크를 나누어서 밟는 것)나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감속할 필요가 있다. 가시거리가 줄어들고 제동 거리가 늘어난다는 것은 평소 보다 차간 거리를 넉넉히 유지하며 운전할 필요성을 느낀다. 충분한 차간 거리를 유지해야 앞차의 돌발 행동에 대처 할 수 있고 앞차가 튕겨 내는 빗물로 인해 시야가 막히는 것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비가 올 때에는 도로와 운전자 및 보행자 등의 교통 환경이 나빠져서 교통사고 발생의 개연성이 높아진다. 유리창과 거울에 물과 습기가 차서 운전자의 눈을 통해 들어오는 교통정보가 적어지고 정확한 정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무엇보다도 운전자들이 우천시 감속운행 등 안전수칙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은 그만큼 빗길 교통사고의 확률을 높이는 만큼 각별한 운전이 요망되는 바이다. 김 국 진경북 고령경찰서 생활안전계 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