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농업기술센터는 한미 FTA에 따른 양돈농가의 경쟁력 강화 및 안전성 확보로 수입육과의 차별화를 위해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양돈 HACCP 농장 육성시범사업을 추진, 10개 농장 모두가 HACCP 인증을 받았다.
농업기술센터는 HACCP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동부지소, 경주양돈협회, 시범농가가 함께 참여하는 '경주양돈 HACCP 협의회'를 조직해 시범농가 교육, 농장 컨설팅, 정보수집 등을 통해 조기에 HACCP 인증을 받았다.
이번에 HACCP 인증을 받은 10개 농장은 만종축산(외동읍 배만용), 길우농장(서면 강성태), 청림농장(안강읍 김태구), 파란농장(건천읍 최동진), 향숙농장(양남면 신황숙), 지-팜농장(내남면 김곤민), 청송농장(내남면 황윤섭), 신화농장(서면 임현욱), 다산농장(강동면 김진현), 동산농장(천북면 박해원)이다.
경주 양돈협회 한 관계자는 "소비자들에게 지역에서 생산되는 돈육의 우수성을 알리고, FTA 대비 위생, 품질 차별화로 소비자 신뢰구축 및 소비촉진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 HACCP 심사를 준비하는 과정은 어려웠지만 치료비, 약제비 등이 40% 이상 절감됐으며, 돼지의 생산 성적이 매우 높아 졌다"고 밝혔다.
이번에 인증을 받은 HACCP 농장은 지난 3월부터 8개월간 농장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단방역 및 시설관리, 각종 검사 등을 수행해 표준 위생관리 체계를 수립했다.
또 농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요소를 분석해 HACCP 시스템을 적용, 각종기록대장에 기록함으로써 농장 위생관리를 객관화하고, 주기적인 직원 농장관리 교육을 통해 안전한 돈육 생산 노력을 기울여 국제 수준의 최상위급 농장으로 만들었다.
경주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2007년 국내 최초 경주천년한우 HACCP 인증, 올해 양돈농장 10개소에 이어 경주천년한우 13개 농장이 추가로 HACCP 인증을 받을 예정으로 경주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통한 소비자 신뢰구축으로 판로확대에 따른 축산농가 경쟁력 강화에 주력 하겠다"고 밝혔다.
**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
이성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