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에 대해 금융감독당국이 적극 개입하면서 당분간 부실화 우려는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조치로 저축은행의 연체율을 7~10.4% 정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금융시장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금융업계 일부에서는 저축은행의 자구노력이 미흡한 상황에서 자칫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도 속속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3일 금융감독당국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증가에 따른 부실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12월 중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부실 PF 채권을 매입키로 결정했다. 이번 감독당국의 대책은 저축은행의 부실 우려 자산의 조기정리를 촉진, 연체율을 상당부분 낮출 수 있다는 게 금융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일반적으로 저축은행의 경우 1000억 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하면 연체율이 0.8%포인트 하락한다. 현재 PF대출에 관련 '악화우려'로 평가된 사업장 68곳(5931억 원)에서 연체가 발생할 경우 연체율은 최대 19.1%까지 상승할 수도 있었으나 이번 감독당국의 조치로 최대 10.4%포인트까지 연체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금융업계 일부에서는 저축은행들의 자구노력이 미흡해 자칫 도덕적 해이를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을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오늘 정부가 먼저 나서 PF대출 부실 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섰는데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저축은행들이 PF대출로 순이익 규모가 급증했고 상당 규모의 배당이 이뤄진 상황에서 자칫 도덕적 해이로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