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광역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기업유치에 나셨다. 경북도는 투자유치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켜 수도권의 기업을 유치해 투자유치 100조원 시대를 열어간다는 방침이다. 기업유치는 먼저 규제개혁과 과감한 인센티브가 보장돼야 한다.  기업하기 좋은 경북도를 위해 팔리지 않거나 활용되지 않는 경북도 소유 공유재산을 투자유치에 활용할 수 있도록 명시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보조금 지원조건의 일부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파격적인 현금지원으로 미래신성장 핵심 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보조금 지원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이전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주거지원, 고용 보조, 교육훈련비 등 기업이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지원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 분야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지역기업이 역차별받지 않도록 지역기업에 대해서도 경북도내 신증설 투자를 할 경우 보조금 지원 평가에서 가산점을 부여해야 한다.  경북도 투자유치특별위원회위원들은 경북도의 투자유치 100조원 시대를 열어 가는데 뜻을 같이 했지만 산 넘어 산이다. 위원들은 새 정부가 기업의 비수도권 투자 촉진정책과 규제혁신을 통한 기업 위주의 성장 정책을 강조하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10대 주요 대기업이 향후 1000조원 이상의 투자계획을 발표한 만큼 경북이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유망 기업을 유치할 수 있게 하려면 위원들의 역할에 달렸다. 투자유치위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구색 갖추는데 급급한 나머지 일부 경력 있는 유능한 인재도 많아 제대로 작동해 성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제개혁과 인센티브가 획기적이라고 해도 수도권 기업을 지방에 유치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자칫하면 변죽만 요란할 뿐 미미한 성과로 끝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다행히 투자유치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에 이름이 오른 이희범 전 산업부 장관,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이순우 전 우리은행장 등은 대어를 낚았다. 삼성·LG·포스코 등 대기업 임원 출신과 기업CEO, 금융전문가가 위원에 이름이 올랐다. 전문성 없는 위원은 스스로 사퇴하고 중앙인맥이 많은 사회적으로 신뢰가 두터운 마당발을 찾아 대체해야 한다. 잘못된 투자위원구성은 위화감만 조성할 뿐 투자유치 100조 원 시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출범한 투자유치특별위원회의 공동위원장직을 맡은 이희범·구윤철·이순우 위원장은 책임이 막중하다. 도와 투자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위원회 차원에서 힘을 모아야 한다. 투자유치 100조 원 시대를 앞두고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킨 것은 공동위원장 이철우 도지사의 절박감이 담겨있다.  민선 8기 시작 전에 출범하는 것은 기업유치가 청년 일자리와 지방경제에 직결돼 있는 만큼 하루라도 빨리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 도지사는 "기업유치 100조원이라는 담대한 목표를 달성해 지방시대를 강조하는 새 정부 정책기조를 선도하고 지역을 기회의 땅으로 만들어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조성하는데 뜻을 함께하자"고 외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경북도는 투자기업에 전국 최고 수준 인센티브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조기 건설과 대구경북 500만 광역경제권 형성 등에도 적극적이다. 황중하 경북도 투자유치실장의 투자유치 100조원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 보고서가 눈길을 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