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1일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조성 및 전문인력 양성을 골자로 한 정부 반도체 초강대국 실현 목표에 따른 ‘경북 반도체 산업 초격차(超隔差) 전략’을 발표했다. 이 조치로 반도체 인재 2만명을 육성키로 했다.   경북도의 이번 프로젝트는 ▲차세대 모빌리티 반도체 생태계 조성 ▲와이드 밴드갭(WBG)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반도체 전문인력 2만 명 양성 등 3대 분야 9대 실천 과제를 담고 있다.   반도체 전문인력 2만 명 양성은 향후 2031년까지 특성화고·대학·대학원 등 교육과정에 맞춘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산업 현장의 반도체 인력 수요에 대응한 재직자 맞춤교육과 계약학과 개설을 기업과 협의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경북 도내 대학 중 포항공대와 금오공대가 반도체 학과(전공)를 운영 중이며 이중 포항공대는 삼성전자, 금오공대는 SK실트론과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로 운영할 예정이다. 또 우수 인재들이 반도체 생산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공동장비 구축과 현장 실무교육도 지원할 방침이다. ◆ 경북도 구미 5단지 국가 제2 반도체 조성 경북도는 최근 국가 제2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구상안으로 구미 국가 5 산업단지(하이테크밸리 2단계) 5.58㎢ 부지에 총사업비 120조 원 규모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프로젝트도 발표했다.조성안은 4개의 반도체 제조공장(Fab)을 신설해 월 최대 80만 장 생산 능력을 갖추고 50개 이상 협력 업체가 입주하는 상생형 클러스터로 조성하겠다는 세부 계획이다.또한, 상생센터 구축, 공동 R&D, 인재 육성 등 상생 프로그램 운영으로 고용보조금 지원,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 제공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목표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수도권 중심의 K-반도체 벨트를 영남권으로 확장해 지역 반도체산업 생태계 활성화 및 지방균형발전 도모를 위해 G-반도체 전략으로 새롭게 나갈 방침이다. ◆ 구미공단 경소단박 반도체, 포항공단 중후장대 제철 등  경북에는 구미 국가 공단과 포항 공단이 국가 경제에 버팀목 역활을 하고 있다. 포항공단은 제철 등 중후장대 제품생산으로 수송 시 항공기가 아닌 배를 이용해 바다를 끼고 있어야 해 포항과 울산은 제철과 조선소가 들어선 것은 입지적 안성맞춤이다. 반면 내륙공단 구미는 바다가 없어 반도체 등 경소단박 제품이 적격이며, 구미와 가까운 신공항 개항 시 구미시는 공항 수혜지역 시너지 효과도 크게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미는 기존 전자공단 인프라를 토대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구미에는 반도체 관련 기업인 삼성과 SK 실트론, 원익큐엔씨 등이 반도체 생산기지로 버팀목 역활로 구미공단은 물론 국가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경북은 현재 포항 배터리 규제자유 특구와 경북형 일자리 모델(구미 LG에너지솔루션) 등 전기차 생산을 위한 배터리와 전력반도체(KEC 등)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전력 반도체 인프라를 강화해 스마트 모빌리티뿐만 아니라 향후 전개될 플라잉카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지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정부 반도체 설비투자 대기업도 중견기업과 세제 혜택 정부는 최근 대기업들도 반도체 관련 설비투자기 세제지원을 중견기업과 독 같은 8~12%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정부의 이런 발표는 그동안 중소·중견기업 치중됐던 세제지원을 대기업에도 확대 적용하면서 기업 투자를 끌어내 반도체 초격차를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달 21일 발표한 정부안은 ▲투자지원 ▲인력양성 ▲시스템반도체 선도기술 확보 ▲견고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고 발표했다.우선 기업 투자 총력 지원으로 향후 5년간 340조 원 이상의 투자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과감한 인프라 지원과 규제 특례로 반도체 기업 투자를 뒷받침하겠다는 복안이다.반도체단지의 용적률을 기존 350%에서 490%로 최대 1.4배 상향시킨다는 계획으로 산단 유치에 따른 이익을 인접 지방자치단체들에 나누는 방식으로 광역자치단체장의 특별조정교부금 활용 방안도 추진한다.   ◆ 반도체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노동·환경 규제 개선 반도체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한 노동·환경 규제도 개선한다. 현재 일본 수출규제 R&D 품목에만 허용되던 특별연장 근로제(주 64시간)를 올해 9월부터 전체 반도체 R&D로 확대하며, 화학물질 관리법(화관법)상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에 대한 규제도 반도체 특성에 맞도록 연말까지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그동안 반도체 산업 성장의 걸림돌로 지적돼왔던 ‘인력’도 10년간 15만 명 이상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내년에 반도체 특성화대학원을 신규 지정하고 교수 인건비, 기자재 등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비전공 학생에 대한 반도체 복수전공·부전공 과정(2년)인 ‘반도체 brain track’도 올해부터 30개교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 정부 시스템반도체 글로벌 시장점유율 3%에서  2030년까지 10%까지 정부는 기존 시스템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기존 3%에서 2030년까지 10%로 끌어올리겠다는 야심 찬 목표도 내걸었다.전력반도체는 4500억 원, 차량용 반도체는 50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면제조사 사업을 추진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는 2029년까지 1조 2500억 원을 지원계획과  소부장 생태계를 견고하게 구축해 2030년까지 현재 30%인 자립화율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한편 경북도의  구미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목적은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 관련 인프라 투자를 구미 등 비수도권 조성과 함께 해평 취수원 대구 공동 이용에 따른 인센티브 안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이번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배경은 문재인 정부가 2019년 경기 용인에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지만, 부지 보상 문제에 가로막혀 사업이 진척이 지지부진한 것도 원인이 되고 있다.반면 구미 국가 5단지는 용인과 달리 원지(原地)가 아닌 기반시설이 잘되어 있고 향후 개항할 국제적 수준의 대경 통합 신공항과 가까워 해외 물류 수송 시 물류비 절감 등 입지적 장점도 잘 갖춰 있어 평택, 용인등 수도권 보다 반도체 입지 최적의 조건도 갖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