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4층에 기록된 24글자의 지반정침은 천지의 기본방위를 나타내는 층이므로 글자가 제일 크고 굵게 표기되어 있으며 360도 원을 24방위로 나누어 놓았다.  처음에는 12방위(12地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로 만들어졌으나 음양의 배합을 위해 12천간을 넣었다. 10천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에서 무·기(戊·己: 중앙의 土이기 때문에)를 빼고 4유(乾·巽·艮·坤)字를 넣어 12천간을 만들고 12지지와 합하여 총 24字를 패철의 360도 원안에 15도 간격으로 써 넣었다.  방위는 자(子), 오(午), 묘(卯), 유(酉)를 동서남북에 배치하여 4기둥을 세우고, 건(乾), 손(巽), 간(艮), 곤(坤)을 동서남북 사이에 하나씩 배치하여 8괘 방위를 이룬다.  12지지는 음이고 8천간과 4유(維/건·손·간·곤)는 양인데 지지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을 음 앞에 하나씩 배정하여 음양이 서로 배합하도록 배치하였고 오행은 지지의 오행을 따른다.  풍수에서는 산맥이 뻗어 내려올 때 쌍산으로 음양배합이 잘 이루어진 내룡인지 불 배합으로 이루어진 내룡인지를 감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내룡도 음과 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생기가 충만한 용(龍)이 되고 생물이 탄생하여 자랄 수 있는 흙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나경패철의 모든 층들은 4층의 지반정침을 기준으로 하여 용도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다.  이렇듯 나경의 여러 층 중에서 기준이 되는 4층 지반정침의 사용용도는 24방위의 정확한 위치와 음·양택의 좌향을 측정하고, 산에 올라 입수룡(入首龍)을 비롯하여 내룡의 방위를 측정하며, 양택에서는 동·서사택(東·西 四宅)이론에 따른 주택가상(家相)의 방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산에 올라 음택의 혈장을 찾을 때 내룡이 혈을 맺기 위해 뻗어 내려온 산자락이 생기를 품은 배합룡인지 생기가 미약하거나 전혀 없어 혈지로 사용할 수 없는 불 배합 사룡(死龍)인지를 감별해내는 것은 풍수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또한 4층의 지반정침은 물이 빠져 나가는 수구의 방향을 기준으로 12포태법을 적용하여 그 용맥이 흙으로 이루어져 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생룡인지, 바위나 돌, 모래로 이루어진 사룡인지, 흙으로 이루어졌으나 지하에 수맥이 흐르거나 흙속에 물기를 품은 목욕룡인지를 구분하는데도 사용한다.  그리고 혈장에 올라 용맥의 상하를 조금씩 이동하면서 정확한 혈처를 정하고 혈처에서 시신이 누워야 할 좌향까지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아주 중요한 층이다.  양택에서도 주택의 좌향과 대문의 위치, 안방, 부엌의 위치 등 집안의 주요공간들을 배치할 때 4층의 지반정침을 이용한다.  풍수학계에서는 음택(墓地)의 좌향을 측정함에 있어서 나경의 4층인 지반정침으로, 혹은 8층의 천반봉침으로 측정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현재 풍수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나경은 그 구조상 1층부터 9층까지의 모든 기준이 4층의 지반정침으로 중심이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4층의 지반정침으로 좌향을 측정하고, 그 정해진 좌향을 기준으로 1층부터 9층까지의 각종 이법들을 대입시켜 적용 해석함이 마땅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