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매섭게 추워졌습니다. 이렇게 추워지기 전부터 아침마다 내렸던 서리에 식물들은 거의 초죽음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나마 푸른빛을 잃지 않고 남아 있던 페퍼민트조차 추위에 얼어버리기 전에 줄기를 수습해 두었습니다. 포푸리를 몇 개 만들어 주변에 선물할 요량으로 초록색 이파리들을 가위로 잘게 잘라 대나무 소쿠리에 널어둡니다. 잘라진 페퍼민트 이파리들이 진하고 청량한 향기를 공기 중에 뿜어냅니다.  이파리를 잘랐던 가위에 초록색 얼룩이 묻어 있습니다. 이파리를 자른 지 한참이나 지났음에도 가위 날은 아직 향내를 담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제자들과 길을 가다가 길에 떨어진 종이 조각을 보시고 무엇에 쓰던 물건인가 물었습니다. 한 제자가 종이를 주워 냄새를 맡고는 향내가 나니 향을 쌌던 종이인 것 같다고 대답했습니다.  다시 길을 가다가 이번에는 땅에 떨어진 새끼줄을 가리키며 또 그것이 무엇에 쓰이던 것인가를 물었습니다. 줄을 주워 냄새를 맡은 제자가 비린내가 나는 걸로 보아 비린 것을 묶었던 듯 하다고 대답했습니다.  이에 부처님께서는 `향을 싼 종이에서는 향내가 나고, 생선을 묶었던 새끼줄에서는 비린내가 난다. 선한 사람은 향을 쌌던 종이처럼 향내가 나고 악한 사람들은 그 사람의 마음에서 악한 것들이 나온다. 사람이 남을 물들이는 것도 이와 같아서 차츰차츰 물들어 가는 중에도 그 사람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사람됨은 훈습(薰習)에 달려있다는 말씀이겠지요. 비린 냄새나는 물건이 주변의 것들에 비린내를 스미게 하듯 나쁜 사람이 남을 물들이는 것은 미혹하여 허물도 허물인 줄 모르고 따라하다가 나쁜 사람이 된다는 것이지요.  맹자께서도 `벗을 사귀는 것은 그 사람의 덕을 사귀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착한 사람과 오래 함께 있으면 그의 착함에 훈습되어 자신도 그런 사람됨을 가지게 된다는 말씀이겠지요. 누구를 삶의 본보기로 삼는지가 자신의 성장에 참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요즈음 SNS 매체나 인터넷상의 언어, 심지어 방송에서조차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오염된 언어가 난무합니다. `여혐, 남혐`처럼 언어에 담긴 극단적 혐오감을 여과 없이 그대로 드러내고, `커엽다(귀엽다), 댕댕이(멍멍이), 머통령(대통령)` 등 원래 글자를 자의적으로 변형한 말들이 TV 화면에 버젓이 자막으로 나타납니다.  개인의 SNS야 논외로 하더라도 방송 언어가 시청자들 특히 청소년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막대합니다. 어느 회사의 신입사원이 자기가 작성한 회사 문서에 `대구`를 평소 sns에 쓰던 버릇대로 `머구`라고 썼다는 일화를 인터넷 상에서 보고 실소를 감출 수 없었습니다.  `여혐(여성 혐오), 남혐(남성 혐오)`은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다가 급기야 오프라인으로까지 확산됩니다. 이 말들은 사람을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분류로만 단정 짓게 유도하여 군 입대, 취업의 군 가산점, 유리 천장으로 불리는 직장에서 여성에게만 주어지는 제약 같은 사회 문제를 대함에서 젊은이들의 성별간 갈등이 심화되도록 조장했습니다.  여혐이니 남혐이니 하는, 이미 상대 성별에 대한 불신과 미움을 전제하는 낱말들은 마치 생선을 묶은 새끼줄에서 비린내가 퍼져나가듯 사람들에게 인간에 대한 불신을 전염시켰습니다.  TV에서 보이는 정치인들은 어떻습니까? 최근 그들이 쓰는 언어가 선정성, 폭력성을 걸러내지 않은 날것 그대로의 야만성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어 우려와 개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정치인들은 국민의 참정권을 대신하여 더 나은 사회를 추구하는 국민의 의지가 현실 정치로 실현되도록 대행하는 집단이라고 봅니다. 그러니만큼 그들은 우수하고 유능한 사회의 지도층으로 존경을 받습니다.  또 정치인들의 언행은 TV라는 매체를 통해 보여진 대로 국민들에게 훈습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협치가 아니라 분열과 갈등만을 고조시키는 정치인의 언어는 국민에게도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고 우리 사회 내부의 갈등도 증폭시킵니다.  그들이 사용하는 격이 낮고 저열한 언어조차도 국민들에게는 본보기가 되어 나쁜 영향을 끼칩니다.  말은 사람의 향기입니다. 말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냄새를 담고 있습니다.  순하고 아름다운 말은 향기를, 저열하고 야비한 말은 나쁜 냄새를 주변에 퍼뜨립니다. 퍼져나가서 다른 사람들에게 배어듭니다. 나의 언어는 어떤 냄새를 주변에 흩뿌릴까요?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