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루 676명 꼴로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인구고령화로 전체 사망자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09년 사망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24만7000명으로 전년대비 600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에 하루 평균 676명, 2분 13초당 1명꼴로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것을 말한다. 인구 1000명 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조사망률은 5.0명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역 및 연도별 연령구조 효과를 2005년 기준으로 표준화환 연령표준화 사망률(표준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은 4.2명으로 전년보다 0.2명 감소했다. 시도별로는 충북이 4.8%로 가장 높았고 울산, 강원, 경남은 4.7%로 뒤를 이었다. 서울과 제주는 각각 3.6명, 3.8명으로 16개 시도 지자체 중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영아(출생 후 1년이내) 사망자 수는 1430명으로 전년대비 150명 감소했다. 영아사망률(출생아 1000명 당 영아사망자 수)도 3.2명으로 0.2명 줄었다. 전체 영아사망의 54.5%는 신생아기(출생 후~28일 미만)에 발생했으며 신생아기 이후(출생후 28~365일 미만) 사망은 650명으로 전년대비 70명(0.7%) 감소했다. 지난해 사망자 중 65세 이상 고령 사망자는 16만9900명으로 68.8%를 차지했다. 이는 1999년에 비해 15.7%포인트 증가된 수치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고령화로 인해 전체 사망자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며 "반면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자들의 전체 사망률은 낮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사망자는 7만4200명으로 전체 인구 가운데 30.1%를 차지했다. 이는 1999년 대비 20.2%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에 따라 생산연령인구의 사망률도 10년전 2.7명에서 2.1명으로 22.2% 줄었다. 한편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사람의 비중은 65.9%로 10년 전인 1999년 보다 33.8%포인트나 증가했다. 반면 주택에서 사망한 사람은 10년 전 57.8%에서 지난해 20.1%로 줄었다. 2004년부터 2008년 5년간 사망이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1월(8.9%)이었으며 6월(7.7%)이 가장 적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