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고향 집을 찾아 설 명절을 보내려는 사람들은 설렘과 기쁨을 안고 있다.하지만 많은 가정들이 명절 아침에 차례상이 아닌 제삿상을 차리고 있다. 이는 명절 차례문화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됐다. 설 명절을 앞두고 한국국학진흥원이 `차례상`과 `제사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통 제례문화의 올바른 계승을 강조하고 나섰다.   차례(茶禮)는 설과 추석 등 명절이 돌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는 의식이다. 이 때 차(茶)를 올렸던 습속에서 유래된 용어가 차례이다. 반면, 제사(祭祀)는 고인의 기일에 조상의 영혼을 모셔 와서 음식을 대접하는 의례이다.그래서 명절 차례상에는 차(茶)가 중심이 되고, 기일 제사상에는 각양각색의 음식이 차려진다.한국국학진흥원 김미영 수석연구위원은 "차례는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간단한 의식이고, 제사는 기일을 맞은 조상의 영혼을 기리고 달래는 추모의례"라며 "예법 지침서인 주자가례에도 차례상에는 술 한잔, 차 한잔, 과일 한 쟁반을 차리고 술도 한 번만 올리고 축문도 읽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원래 간결했던 차례음식이 경제적 여유가 생겨나고 유통구조가 발달하면서 점차 늘어났다. 그러다 보니 우리사회에서 차례상은 사라지고 제사상만 남게됐다"고 덧 붙였다.실제로 안동 퇴계 종가에서는 설 차례상에 술·떡국·포·전 한 접시·과일 한 쟁반 등 5가지로 상차림을 끝낸다. 과일 쟁반에는 대추 3개, 밤 5개, 배 1개, 감 1개, 사과 1개, 귤 1개를 담는다. `주자가례`에 비해 차가 생략됐고, 떡국과 전, 북어포를 추가했다.이렇듯이 원래 간결했던 차례음식이 경제적 여유가 생겨나고 유통구조가 발달하면서 점차 늘어났다.그러다 보니 일반 가정에서는 차례라는 형식만 따를 뿐 조상을 잘 대접하고 모신다는 생각에서 여러가지 음식을 마련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김 수석연구위원은 "많고 크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통예법에서는 모자라는 것보다 넘쳐나는 것을 경계했다"고 설명한다.그래서 차례상에 술과 과일 등 간단한 음식을 차리지 않고 제사음식을 잔뜩 올려놓으면 `참람(僭濫, 지나치거나 넘치는 것)`이라고 해서 `비례(非禮, 예가 아니다)`로 간주했다고 한다.이처럼 차례상의 본래 모습을 되살린다면 예법도 지키고 차례음식 장만을 둘러싼 가족 갈등도 해결할 수 있다.    올 설날에는 차례상에서 제사음식을 과감히 걷어내는 것은 어떨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