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언론과 환경단체가 제기한 월성원전의 `방사능·삼중수소 누출 의혹`에 대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눈길을 끄는 것은 고농도 삼중수소 출현 원인은 배수 배관 노후일뿐 주변지역 유입 가능성 없다고 결론지은 데 있다.  이번 조사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2021년2월 부터 2년간 실시한 결과이다. 조사단 선임분석원은 "최종조사결과에 따른 민관합동조사단 권고사항 이행현황을 감사기구인 민간 환경감시센터로 이관해 확인하고, 이행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안전을 확인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월성원전 삼중수소 관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은 일부 언론과 환경단체가 제기한 `월성원전 부지 내 터빈빌딩 맨홀 및 지하수 고농도 삼중수소 검출` 관련, 명확한 사실관계 확인에 나셨다. 지난 24일 오전10시 주민설명회를 통해 공개된 내용은 월성원전 내 27개 지하수 관측정과 남측, 북측 저수조를 대상으로 물 시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WS-2 관측 공의 삼중수소 농도는 언론 보도 당시 리터당 2만 8200㏃(베크렐) 수준이었지만 조사단이 검사할 때는 2100베크렐로 11분의 1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이에 따라 조사단은 관측정의 오염 원인은 증기발생기 취출수 배수 배관, 터빈건물집수조 배수배관, 물처리실중화조 배수배관 등 배수배관의 노후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뚜렷하게 오염도가 낮아진 것은 한수원이 관련 설비를 개선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조사단은 오염원의 주변 지역 이동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  월성원전 인근 지하수는 북서쪽 산지 경사를 따라 남동쪽 해안으로 이동하거나, 단열대를 따라 흐르는 만큼 대부분 바다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월성1호기 사용후연료저장조 외부 지하 9m 지점 1구역 토양에 484 Bq/Kg의 방사성 세슘(Cs-137)이 검출된 것은 1997년 저장조 누수로 인한 보수 공사 당시 불완전한 제염(방사성물질을 닦아내는 것)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 월성1호기 사용후 연료 저장조 구조물의 시공이음부에서 미세한 틈이 발견됐고 미량의 누수가 확인된 것이다. 하지만 물 시료를 분석한 결과 감마핵종이 검출되지 않아 벽을 관통하는 균열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감마 핵종은 세슘이나 코발트와 같이 투과력이 강한 감마선을 방출하지만 삼중수소와 달리 콘크리트를 투과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현재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안전확인을 위해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