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선거제도 개편이 논의 중인 가운데 국민들이 선거제도 개혁보다는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일 한국행정연구원이 실시한 한국 정치 양극화와 제도적 대안에 관한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다당제로 가기 위한 선거제도 변경으로 꼽히는 비례대표 의석 확대에 부정적인 의견이 82.2%를 차지했다.31.1%는 현재 방식(비례대표 의석 비율 15.7%) 유지를 선호했으며 비례대표 폐지, 전원 지역구 대표로 선출에는 27.1%가, 현재보다 비례대표 의석 축소에는 24.0%가 동의했다.이에 반해 비례대표를 현재보다 조금 더 증원(9.8%), 비례대표와 지역구 대표를 1대1로(5.9%) 등 비례대표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은 소수에 그쳤다.여기에는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정의 민주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62.8%에 달하는 등,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 대한 불신이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중대선거구제에 대해서도 대체로 부정적이었다.'현행 소선거구제 유지' 의견이 55.4%로 절반이 넘었으며 '2인 선거구제로 변경' 23.9%, '3∼5인 선거구제로 변경' 18.2% 순이었다.지지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소선거구제 유지' 응답이 64.2%로 가장 높았으며 같은 의견을 낸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는 59.8%였다. 무당층은 이 비율이 50.2%로 비교적 낮았다.양당제와 다당제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56.2%로 다수였다.한국 정당정치의 가장 중요한 해결 과제에 대해서는 25.9%가 '거대 양당 중심의 대결주의적 정치구조'를 꼽았고 그 다음으로 '정당 정치인과 다수 유권자 간 괴리' 19.4%,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후보 공천' 18.2%, '승자독식의 선거제도' 1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특히 정치 양극화 문제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국민의힘 지지자의 61.8%, 민주당 지지자의 74.1%가 상대 정당이 '비호감'이라고 답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