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으로 인구소멸이 가속화되면서 지자체들의 다자녀 출산 가정에 주는 혜택들이 각양각색이다. 인구감소는 국가 경쟁력이 약해지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책에 골몰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다자녀 출산 가정에 혜택을 주면서 출산 장려에 나선 것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출산율이 빠른 속도로 감소 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일부 지자체는 청년층이 취업, 결혼과 출산에 나서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다자녀 출산 가정에 주는 혜택도 지자체별 들쭉날쭉이다. 문화 관광도시 경주시는 인구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1명 출산에 300만 원, 둘째 500만 원, 셋째 1800만 원씩 지원한다. 반면 충북 괴산군의 셋째 아이 출산장려금 지급이 5000만 원이다. 3자녀 이상에 주택공급 혜택을 주는 지자체도 있다.   여러 유형의 다자녀 혜택은 자녀가 2~3명 이상 경우 적용된다. 신생아 검사비와 미숙아 등에 대한 의료비 일부를 비롯해 양육 과정에서 어린이집 입소 우선권과 아이 돌보미 가정 방문 돌봄 서비스 제공,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임대주택 우선 공급,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대출 우대금리 적용 등이 포함된다. 이 밖에도 3자녀 이상 가정에 대해 주택 특별공급 혜택, 공과금, 고속철도와 공항주차장 할인, 자동차 취득세 면제, 자녀 세액 공제, 학자금 지원과 대출 등의 혜택이 부여된다. 하지만 여러 지원 제도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통계 그래프의 변곡점을 찾기 어렵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청년들의 의식 조사와 연구 보고서는 주로 경제적 어려움과 가치관의 변화 등 두 가지에 주목한다. 먼저 경제적 부담은 결혼 후 거주할 주택과 아이 양육을 감당할 직업과 직장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대책은 현재의 제도를 청년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다. 지원이 늘어날 만큼 부담도 커지므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 자원 배분의 관건은 국가 현안의 우선순위다. 저출산 대책의 중요성에 시민이 깊이 공감해야 한다. 국회의 입법과 정부의 정책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가족과 행복에 대한 청년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과 출산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와 연관된다.   핵가족과 1인 가정의 증가로 자녀가 없는 생활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청년들의 가치관 변화와 미혼여성이 늘어나는 이런 분위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지자체별로 각양각색으로 지원되는 다자녀 출산 가정 혜택도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