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2024년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 대상으로 전국에서 ‘생생 문화유산’ 150건,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 99건, ‘문화유산 야행’ 49건,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 46건, ‘고택·종갓집 활용’ 45건 등 대구·경북권 포함, 총 389건을 선정했다.올해에는 미래세대에게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향유 환경을 물려주고자 ‘기후변화 대응’을 주제로 공모해 최종 389건의 사업이 선정된 것이다. ▲생생 문화유산 사업은 잠자고 있는 지역 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고 콘텐츠화해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경북권에서는 경산시의 ‘압독국, 미래를 만나 영원불멸을 꿈꾸다’를 비롯, 경주시의 ‘화랑이 깃든 서악마을’, 예천군의 ‘삼강주막 주모요 잘~ 지내시니껴’, 울릉군의 ‘누려보자 문화유산 울릉도’ 등이 선정됐다.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향교·서원의 문화유산과 배향 인물이 품고 있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이다. 대구 구암서원의 ‘서원 빗장을 열다’를 비롯, 경주향교의 ‘천년고도 향교사랑’, 상주시의 ‘사적지 옥동서원에서 옛 선현 따라하기’ 등이 선정됐다. ▲문화유산 야행사업은 지역에 집적된 문화유산과 그 주변의 문화 콘텐츠를 하나로 묶어 야간에 특화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경북권에서는 고령군의 ‘고령 지산동 고분군 야행’을 비롯, 영덕군의 ‘영해 1924 그날밤을 거닐다’, 안동시의 ‘월영야행’ 등이 선정됐다.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사찰이 보유한 문화유산과 역사문화자원 등을 활용하는 고품격 산사문화 향유 프로그램이다. 경북권에서는 경주시의 ‘칠불암 5감 힐링체험’, 포항시의 ‘나랑 절이랑 폭포랑 만난 ’시절인연‘’ 등이 선정됐다.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은 고택·종갓집의 의·식·주, 의례 등 전통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체험해 고택‧종갓집의 지역 관광자원화를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경북권에서는 경주시의 ‘회재(晦齋)가 보내온 500년 종갓집 ’독락당‘ 초대장’,과 ‘경주최부자! 곳간을열다’, 안동시의 ‘임청각에서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다’ 등이 선정됐다. 이번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은 전국에 소재한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과 결합해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늘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