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이재명계인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의원이 23일 지명직 최고위원에서 사퇴했다.   송 의원이 사의를 표명한 것은 지난 21일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 이후 친명 중심의 당 지도부가 비명계에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벼르고 있고, 강성 당원들의 사퇴 요구가 쏟아지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결과로 해석된다.강선우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보낸 공지문을 통해 "송 최고위원이 어제 이재명 대표에게 지명직 최고위원 사의를 표명했고, 이 대표는 고심 후 오늘 사의를 수용했다"고 알렸다.송 의원도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21일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직후 사퇴를 결심했다"고 밝혔다.송 의원은 "공개 사퇴 입장을 밝히기에 앞서 임명권자인 대표께 수용을 구하는 게 순서이자 도리라 생각해 어제 사의를 표명했고 오늘 조정식 사무총장으로부터 대표의 사의 수용 의사를 전달받았다"고 설명했다.이어 "공식적인 사퇴 입장은 다음 주 월요일 최고위원회 공개 발언 자리에서 말씀드리겠다"고 했다.이 대표는 지난 3월 당직 개편 당시 계파 갈등을 추스르기 위한 일종의 '탕평책'으로 송 의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했다.광주 서구갑을 지역구로 둔 송 의원은 앞서 비명계 모임인 '민주당의 길' 활동 등을 통해 이 대표에게 쓴소리를 해왔다.송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도 나오지 않았다.역시 비명계인 고민정 최고위원도 최고위원직을 내려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최고위원은 전날 회의에서 강성 당원들의 사퇴 요구를 언급, "당원의 지지로 탄생한 최고 위원이 당원들로부터 사퇴 요구를 받는 건 이미 신임을 잃은 것이다. 당원 판단에 따르겠다"라고 한 바 있다.고 최고위원은 선출직이어서 당 대표 승인 없이 최고위원 자리에서 물러날 수 있다.송 의원과 고 최고위원은 '가결파 색출'에 나선 강성 당원들이 지목한 명단에 올라가 있으며, 강성 당원들은 이들에 대한 '문자·전화 폭탄' 공격을 통해 비판 및 항의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