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5일 포항공대 포스코 국제관에서 ‘2023 지방시대 주도 수소경제 대전환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선포식에서는 2050 경북도 수소경제 마스터플랜과 그동안의 주요성과 그리고 향후 중점 추진 사업순으로 발표했다.경북도는 ‘수소경제 전환을 통한 지속 가능한 경북도의 미래산업 선도’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3대 추진전략으로 수소산업 경쟁력 제고, 수소생산·공급 기반 강화. 생활 밀착형 기반 확대로 정하고 15대 전략과제를 수립해 지역 간 균형 있는 수소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먼저, 수소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부 전략과제로 수소연료전지 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70개 기업을 유치하고, 수소 전문인력 3000명 육성, 수소전문기업 100개를 육성하고, 분산에너지원으로 건물 및 산업단지에 연료전지 1GW를 체계적으로 육성한다. 아울러, 한국수소기술원도 함께 유치해 나간다.한편, 수소산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육성하고자 청정수소 생산벨트, 수소 특화지구 조성, 수소전문인재 육성 벨트 등 권역별 맞춤형 수소 생태계도 조성한다. 우선, 환동해의 풍부한 에너지자원을 중심으로 한 청정수소 생산벨트는 킬로그램당 3000원의 값싼 수소 생산을 목표로 원전과 재생e를 연계한 하이브리드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한다. 또 태양광 및 풍력, 수력 등 신재생을 활용한 수소 생산거점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국가 에너지 생산거점의 대동맥 역할을 한다는 복안이다.특히, 철강·자동차 등 지역 전통산업, 수소 혼소발전, 수소충전소 등에 공급해 미래에너지인 청정수소 기반의 산업구조 전환을 착실히 준비해 나간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수소 비전 선포식을 통해 철강·자동차 등 전통산업 재도약과 미래에너지 신산업 선도를 위해 수소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며 “에너지분권 실현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을 실현을 경북도가 반드시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차전지 특화단지 선정과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 예타 통과를 동시에 달성한 올해는 지방 주도 수소경제 전환의 원년”이라며 “포항시는 경북도와 함께 포항의 수소경제를 이끌어갈 주인공인 지역 내 기업체, 교육기관, 연구기관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