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의 꿈이 무산됐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173차 총회의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 부산은 29표를 얻는 데 그쳐 119표를 획득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큰 표 차로 뒤졌다. 사우디는 투표 참여 165개국 중 3분의 2인 110표를 여유 있게 넘는 표를 얻어 결선 투표 없이 개최지로 선정됐다. 한국은 1차 투표에서 사우디가 3분의 2 이상 표를 얻지 못하게 하고 2위로 결선투표에 올라가 역전극을 펼치겠다는 전략을 세웠으나 실패했다. 사우디보다 엑스포 유치전에 뒤늦게 뛰어든 우리나라는 정부와 민간이 혼연일체가 돼 BIE 회원국을 일일이 접촉해 설득했고, 막판 박빙 판세까지 추격했다는 자체 판단에 따라 대역전의 기대가 컸던 것도 사실이다. 마지막 투표일 최종 프레젠테이션(PT)에도 한덕수 국무총리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총 5명이 나서 부산의 비전과 가치를 회원국들에 집중 홍보했다. 엑스포 유치 노력이 결실을 보지는 못했지만 유치 과정 자체도 의미가 크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재계가 `코리아 원팀`이 돼 하나의 목표를 향해 한마음으로 같이 뛴 경험은 소중한 국가적 자산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민관 합동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경쟁국들보다 유치전을 늦게 시작했다. 그런데도 유치 과정에서 이동한 거리만 500여일간 지구 495바퀴에 해당할 정도로 분투했다. 코리아 원팀이 세계를 누비며 구축한 `엑스포 네트워크`는 앞으로 우리의 외교적 지평을 넓히는 또 다른 기반이 될 것이다. 회원국을 대상으로 유치전을 펼치는 과정에서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아메리카, 카리브, 태평양 도서국에 이르기까지 그간 교류가 적었던 여러 나라들과 소통이 이뤄졌다고 한다. 앞으로 통상외교의 성과로 이어질 여지도 충분하다. 하지만 이번 유치 실패를 계기로 되돌아봐야 할 점도 적잖다. 정부가 개최지 투표 직전까지 내비친 역전 기대감과는 달리 큰 표 차이로 결선투표에는 아예 가보지도 못한 점은 뼈아픈 대목이다. 엑스포 유치를 국가사업으로 정해놓고도 뒤늦게 중앙정부가 유치전에 뛰어든 점도 되짚어봐야 할 부분이다. 연합뉴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