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전통시장 화재예방을 위해 안전시설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영세한 상인들의 보험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화재공제 지원에 45억원을 투입한다고 19일 밝혔다.시는 ‘전통시장 안전관리패키지 지원사업’에 27억1700만원을 투입해 노후화된 전통시장의 전기·소방·가스 등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개선할 예정이다.‘전통시장 안전관리패키지 지원사업’은 기존 노후전선 정비사업(전기분야)과 화재알림시설 설치사업(소방분야)에 더해 올해부터 가스 및 기타 안전분야 사업이 추가돼 확대·개편된 사업이다.서문시장 동산상가, 종합유통단지 섬유제품관, 칠곡시장, 칠성시장, 현풍백년도깨비시장이 중기부 공모사업에 1차로 선정돼 총 7억3000만원(자부담 6400만원)의 지원을 통해 점포 내 노후된 차단기, 분전함, 전선 등을 교체할 예정이며 추후 지속적인 공모 신청을 통해 대상을 추가해 나갈 계획이다.또 영세한 전통시장 상인들의 높은 화재 보험료 부담을 낮추고 가입률을 높이고자 ‘전통시장 화제공제 지원사업’의 사업비를 전년도 2억9300만원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5억7300만원(자부담 30%)으로 증액해 추진한다.‘전통시장 화재공제 지원사업’은 보험료의 70%(지원한도 12만4320원/개소)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화재발생 시 최대 6천만 원(건물, 동산 각 3000만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어 신속한 복구 및 생활안정지원이 가능하다.뿐만아니라 전통시장의 전기 안전점검과 시설보수를 위한 노후 전기설비 개선사업(3억원), 건축물 구조 안전점검 및 보수·보강을 위한 노후시설 안전점검 사업(9000만원), 노후된 전통시장의 시설 교체·개선을 위한 시설현대화사업(안전분야 7억7800만원) 등 다양한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박기환 시 경제국장은 “전통시장 안전 지원사업의 확대에 따라 시민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의 전통시장에서 쇼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통시장 상인 및 상인회에서도 안전한 난방 기구 사용,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금지 등 화재 예방에 함께 힘써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