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경주 출신의 대문호인 김동리의 소설 ‘을화’가 국내 연극으로는 처음으로 경주립극단이 창작해 초연한다.경주시립극단(감독 강성우)은 제132회 정기공연 ‘을화(극본 유보배, 연출 강성우)’를 3일부터 4일까지 양일간 각각 오후 7시 30분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에 앞서 경주시립극단은 지난달 14일, 더욱 완성도 높은 연극을 선보이기 위해 오픈 리허설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연극 ‘을화’는 김동리의 소설을 바탕으로 ‘맺힘과 풀림의 기록 1978’이라는 부제로 초연된다. 1982년 노벨문학상 후보에도 올랐던 김동리의 ‘을화’는 단편이었던 ‘무녀도’를 장편으로 개작한 소설로, 한국문학의 진수로 평가받고 있는 작품이다. 단편 ‘무녀도’는 각 지역에서 여러 번 공연이 된 바 있었으나 장편 ‘을화’는 이번에 경주에서 연극으로는 첫선을 보일 예정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극 ‘을화’는 원작의 내용을 반영하면서도 관객의 이해를 돕고 우리 시대의 가치관을 다시 짚어볼 수 있는 새로운 화두를 제시한다.연출을 맡은 강성우 감독은 “역사의 격변기 속에서 기독교와 민간신앙간 종교적 대립이나 신·구세대 간의 갈등보다는 무녀이자 엄마로 살았던 주인공 ‘을화’를 따라가며 주시할 것”이라면서 “기독교와 무속에 관련한 충돌적인 부분은 대사 등에서 최대한 덜어내 ‘부딪힘’ 보다는 가장 작은 사회단위인 가족 안에서 한 인간으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를 이 작품을 통해 풀어내려 노력했다”고 전했다.그러면서 “이 관점을 가족사에서 사회로 확장시켜 관람하기를 바라고, 현재 우리 사회의 맺혀있는 현상들이 해소되고 풀리기를 바라는 입장에서 연출했다”고 말했다. 바로 이 지점이 ‘맺힘과 풀림의 기록’이라는 부제를 단 이유라는 것이다. 작품의 배경이 경주인 만큼 지역의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경주의 굿과 소리와 리듬도 어떻게 재현되는지도 이번 연극의 관람 포인트다.
경주시립극단은 이번 작품 ‘을화’를 일회성 공연에 그치지 않고 레퍼토리화 할 예정이다. 이번 공연을 발판으로 관객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발전시키고 수정 보완해 좀 더 완성도 있는 공연으로 경주뿐 아니라 다른 지역 무대에도 올리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경주시립극단 제132회 정기공연 ‘을화’는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3일과 4일 각각 오후 7시 30분에 공연되며 관람 시간은 100분이다. 14세 이상 관람 가능, 전석 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