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인 7,870억달러 규모의 미국 경기부양법안이 17일 발효됐다. '바이아메리카' 조항으로 보호무역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한국산 상품의 미국 시장진출 가능성은 대체로 긍정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코트라가 18일 발간한 '미국 경기부양법안 분석 및 활용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미 정부의 재정지출과 감세혜택이 집중된 환경, 재생에너지, 보건의료, 사회간접자본(SOC) 및 정보통신망 개선 프로젝트는 우리기업의 진출이 유망한 분야로 선정됐다. 미 경기부양안은 '그린 뉴딜'이라는 성장기조에 걸맞게 전체 세출의 20%에 해당하는 617억달러가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 투입된다. 특히 에너지절약형 주택의 신축과 기존 건물의 개보수가 활성화됨에 따라 고효율 단열재나 창호재 등 친환경 건축자재와 절전형 가전제품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세 공제기간 연장 등 인센티브 확대에 따라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산업이 탄력을 받으면서 타워, 플랜지 등 풍력발전용 단조부품과 박막형 태양전지(패널) 시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경기침체여파로 지체됐던 폐수처리 프로젝트 역시 재개될 전망이다. IT분야에서는 광대역 네트워크 확충에 72억달러,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분야에 110억달러, 건강기록 전산화에 208억달러가 배정돼 네트워크 장비, 스마트미터기, 의료정보제품의 구매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국토방위부 본부 신설 등 공공건물 신축 역시 관련 IT 네트워크 및 제품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SOC 확충에는 전체 세출의 15.5%인 480억달러의 투자가 예정되면서 철강, 시멘트 등 건설 및 토목 자재와 중장비의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산 의무사용 대상인 철강과 달리 중장비는 대미수출 확대가능성이 높다. 특히 신규설비투자에 대한 감가상각 감세 인정 폭이 확대돼 한국산 기계류의 대미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최대한 신속한 경기부양 효과를 거두기 위해 법안발효와 동시에 집행에 돌입할 태세다. '즉시사용(Use it or lose it)조항'을 도입, 사업추진 속도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대다수 경기부양 프로그램이 앞으로 30~120일 이내에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송유황 코트라 워싱턴 센터장은 "미국 경기부양법안은 직면한 경제위기 극복 뿐만 아니라 미래 산업 육성을 통한 지속적 경제성장의 토대구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분석하며 "단기적으로 경기부양 수혜분야 진출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한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