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5만원권 시제품 제조 과정을 마치고 25일 도안을 공개했다. 발행은 6월 실시된다.
도안인물은 신사임당이다. 화폐도안용 측면화 영정은 표준영정을 바탕으로 신사임당 생존 당시의 두발 및 복식 등에 관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신규 제작했다.
앞면 보조소재는 신사임당 작품으로 전해지는 '묵포도도'와 '초충도수병' 중 가지 그림을 사용했다. 바탕그림으로는 왼쪽에 난초무늬와 기하학무늬를, 오른쪽에 고구려 고분벽화 무늬를 사용했다.
뒷면 보조소재는 '월매도'와 '풍죽도', 바탕그림은 바람무늬를 사용했다.
5만원권의 크기는 가로 154㎜, 세로 68㎜로 새 1만원권보다 가로는 6㎜ 크고 세로는 동일하다.
시각 장애인의 액면 식별을 지원하기 위해 앞면 오른쪽과 왼쪽 가장자리에 가로로 볼록인쇄해 다섯줄무늬를 손으로 만지면 오톨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다.
주요 위조방지 장치는 일반인을 위한 것과 전문 취급자를 위한 것으로 구분된다.
일반인을 위한 위조방지 장치는 띠형 홀로그램과 입체형 부분노출은선, 가로확대형 기번호를 새로 적용했다.
띠형 홀로그램은 앞면 왼쪽 끝 부분에 부착된 특수필름 띠로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태극, 우리나라 지도, 4괘의 3가지 무늬가 띠의 상·중·하 3곳에 있다. 그 사이에 액면 숫자 '50,000'이 보인다.
입체형 부분 노출은선은 청회색 특수 필름 띠에 사방 연속으로 새겨진 여러 개의 태극무늬가 지폐를 상하로 움직이면 좌우로, 좌우로 움직이면 상하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선이다.
또한 기번호 10자리의 문자와 숫자의 크기가 오른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가로확대형 기번호를 사용했다.
금융기관의 현금취급자 등 전문가를 위해서는 형광잉크, 비가시 형광은사, 필터형 잠상, 미세문자 등을 사용했다. 자외선, X선, 확대경 등 도구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