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던 출생아와 합계출산율이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8년 출생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46만6,000명으로 전년(49만3,000명) 대비 5.5%(2만7,000명) 감소했다.
특히 출산순위별로 첫째 아(兒)는 24만2,000명으로 전년 대비 2만명 감소(-7.6%)햇으며 둘째 아는 17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6,000명(-3.3%), 셋째 아 이상은 4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2,000명(-4.3%) 각각 줄었다.
전년 대비 출생아 수는 2005년 8만8,000명 감소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 2006년 13만명 증가, 2007년 4만5,000명 증가를 기록한 바 있다.
또한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1.19명으로 전년(1.25명) 대비 0.06명 줄었다.
연령별로 20대 초반(20~24세) 및 20대 후반(25~29세) 연령층의 출산율(인구 1,000명 당 출생아수)은 18.0, 85.6으로 전년 대비 각각 1.5명, 9.9명씩 하락했으나 30대 초반(30~34세) 및 30대 후반(35~39세) 연령층의 출산율은 101.6, 26.5로 전년 대비 각각 0.3명, 0.9명 씩 상승했다.
전년 대비 합계출산율은 2005년 -0.078명 감소 이후 2006년 0.047명 증가, 2007년 0.127명 증가를 기록한 바 있다.
전백근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 2002년과 2003년에 신용카드 위기 등으로 혼인이 많이 줄어든 것과 가임여성의 감소 등으로 출생아 수가 줄었으나 2006년 쌍춘년과 2007년 황금돼지해에 맞춰 혼인과 출산이 몰렸다"며 "지난해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없어지면서 출생아와 합계출산율 등이 감소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0.82세로 전년 대비 0.23세 상승했는데 연령별로 30대 초반(30~34세) 모의 출산비중이 전체의 42.8%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후반(25~29세)은 36.3%로 그 뒤를 이었다.
아울러 동거 후 2년이 되기 전에 첫째 아를 낳는 비율은 74.1%로 전년 대비 1.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동거 후 2년이 되기 전에 첫째 아를 출산하는 비율은 지난 2005년까지 하락세를 나타내다 2006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