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절반 이상이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비준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한·미 FTA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한·미 FTA를 국회가 비준해야 한다'는 응답이 55.0%를 차지했다. 반면 '한·미 FTA를 부결해야 한다'는 비율은 30.4%로 나타났다.
한·미 FTA를 비준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국회 비준의 적정 시점을 묻자 50.5%는 '(4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할 경우)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비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4월 임시국회에서 비준돼야 한다'는 응답은 24.2%를 차지했다. '미국의회가 먼저 비준한 후, 우리 국회가 비준해야 한다'는 응답은 15.2%로 나타났다.
비준에 찬성하는 응답자들에게 우리나라가 한·미 FTA를 비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묻자 '한·미 FTA의 조속한 발효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수출부진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양국 정부간 합의 사항으로 부결은 국가간 신뢰에 문제가 될 수 있다'가 23.8%, '미국과 우호관계 형성으로 우리나라 대외신인도가 높아질 것'이란 응답이 21.2%로 나타났다.
한편 한·미 FTA 비준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0.4%가 '정치적 이유 때문'이라고 답했다.
한·미 FTA 비준안을 부결해야 한다고 답한 30.4%의 응답자 중에서는 53.5%가 비준 부결 이유로 '농산물 등 FTA 관련 산업의 피해 우려' 등을 꼽았으며 '한국에 불리하기 때문'이 25.8%로 그 뒤를 이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국민의 절반 가량이 한·미 FTA 비준을 희망하는 것으로 밝혀진 만큼 국회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한·미 FTA 비준안을 조속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미 FTA 비준에 반대하는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등 피해 가능성이 있는 산업의 보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