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과 달리 요즘 매사에 나무늘보다. 고백하건대 이렇듯 부쩍 몸과 마음이 굼뜨게 된 데는 나름의 철학을 얻고 부터다. 젊은 날 어떤 일을 행하기전 항상 마음부터 앞섰다.  사실 안간힘 쓴다고 안 될 일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노력은 하되, 무슨 일이든 될 일은 애쓰지 않아도 절로 성사 될 때가 있다. 이런 진리에 어두웠던 당시로선 노심초사하면 만사 해결 될 줄 알았으니…. 얼마나 우매했던가.  이제 인생의 완숙기에 접어든 나이에 이르러서인가. 젊은 시절엔 솔직히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고 하듯, 타인의 성공을 대하면 시기심 및 질투도 없었던 게 아니다.  요즘엔 아무리 주위 사람이 억만금과 빛나는 성취를 손에 쥐었다 하더라도 `그런가보다`라고 무심해진다. 이는 옹색했던 마음자락이 넓어져서만은 아닐 것이다. 만사에 그토록 태산 같던 욕심이 희석 되어서다.  그러고 보니 지난날 애태웠던 일들이 실은 헛발질이었다는 생각도 든다. 이루어질 수 없는 일에 얼마나 애착을 보였던가. 실은 상호 보족 작용(補足 作用)에 의하여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혼자만의 생각과 힘엔 한계가 있단 뜻이다. 어떤 일엔 운도 따라야 하고 기회포착도 적절해야 할 것이다. 그래 이즈막엔 무슨 일이든 애면글면 하지 않는다.  집 앞 호숫가를 산책하노라면 연령고하 막론하고 조깅을 하는 동네 주민들을 자주 대한다. 숨을 가쁘게 내쉬며 이마에 흐르는 땀방울을 주먹으로 훔치며 뛰는 모습은 보기에도 절로 건강미가 넘친다. 2km도 채 안 되는 호숫가 둘레 길을 몇 바퀴 씩 뛰는 사람들을 바라보노라니 문득 올림픽 남자 육상 100m 대회가 떠올랐다.  이 대회는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첫 근대 대회로 알고 있다. 84·88년 이 대회에서 제패한 칼 루이스가 대회 2연패를 기록한 것으로 유일하다. 그만큼 이 대회는 2연패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나마 88 서울 올림픽에선 벤 존슨이 약물 복용으로 박탈당한 금메달을 칼 루이스가 물려받았을 뿐이다.   그러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육상에서 미국의 젊은 신인 저스틴 개틀린은 예상을 뒤엎고 총알처럼 9.85초의 기록을 갱신, 금메달을 거머쥐었다. 이 때 텔레비전에서 새벽까지 이 경기를 시청하던 필자는 저스틴 개틀린의 경기 하는 모습을 보며 `인생사도 단 몇 초 만에 목적지에 도달하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엉뚱한 상상을 하기도 했다.  한편 인간 속도의 최고점을 시험하는 이 경기가 왠지 인상 깊었다. 이 때 주자들은 45 보步 쯤을 내내 발끝으로만 내딛는 것으로 알고 있다.  경기 처음엔 대 여섯 걸음을 뛰면서 숨을 두 차례 정도 뱉을 뿐 한 숨도 호흡하지 않으면서 종착점까지 질주를 한다.  올림픽 대회에서 100m 달리기 및 마라톤, 무제한급 역도를 3대 경기로 손꼽는 이유는 ` 달 리고 견디며 들어올리는` 인간의 원초적 능력 한계를 재기 위함일 것이다.  특히 마라톤은 극한 고행에 가까운 운동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오죽하면 `달리기의 단거리는 소질이요, 마라톤은 노력`이란 말까지 회자될까. 어찌 보면 마치 이 100m 달리기는 우리네 인생사와 흡사하다는 생각이다. 이 때문에 경기 내용에 오롯이 함몰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고 보니 지난 삶이 앞만 보고 달린 마라톤과 흡사하다면 지나칠까. 오로지 `잘 살아야겠다.`라는 이 일념으로 주위를 돌아볼 겨를도 없이 목표물을 향하여 내달렸다.  이젠 모든 것에서 자유롭고 싶다. 젊은 날 삶은 여러모로 여유롭지 못했다. 올림픽 100m 달리기 주자들이 단 10초를 뛰고 나면 2시간은 휴식을 취해야 체력이 돌아올 만큼, 아니 그보다 더 힘겹게 수 십 년을 열정과 노력을 병행하며 살아왔기 때문이다.  머잖아 밝아올 2023년 새해를 맞이하며 여유로운 삶을 위하여 느긋하게 숨고르기를 해야 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