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수도권 병(病)을 고칠 수 있는 처방 약을 내놓았다. 도지사가 제시한 처방 약은 수도권의 대규모 공공기관을 과감하게 지방으로 이전하는 방안이다. 유치대상은 굵직한 양질의 공공기관 30여 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물망 대상 공공기관은 어떤 기관일까? 김천혁신도시에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도로·교통 기능 군의 앵커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다. 쿠팡, 우진산전 등 물류 기업의 투자가 이어져 스마트물류 거점도시로 변모해가고 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의 가장 큰 주안점을 분야별 1차 이전기관과 연계하면서 지역 新산업과 가장 밀접하고 파급효과가 큰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기관으로 정했다. 도로교통 분야에 스마트도로 건설, 통합 신공항, 철도 특구 지정과 R&D를 연계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을 선정했다.  물류 분야 기관은 도로·철도·항공을 아우르는 스마트 종합물류 거점도시로 확장을 위해 우체국 물류지원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이 유치대상이다. 에너지 분야는 혁신도시의 한국전력기술, 경주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 원자력환경공단, 포항의 이차전지·수소에너지 클러스터 등을 연계하기 위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 원자력안전재단을 선정했다. 이와 함께 법률·농업 분야에 정부법무공단,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등 기관과 그 외 한국국방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30여 개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기관으로 선정했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으로 산·학·연 상생 협력을 통해 지역산업과 기업의 동반 성장으로 대한민국 어디서나 잘 살 수 있는 확실한 지방시대를 열어갈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도지사는 정부의 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앞두고 우선 유치 전략으로 김천혁신도시 1차 이전기관과 연계한 공공기관을 유치대상으로 공식화하고 총력 대응에 나섰다. 정부는 앞서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을 원칙으로 하반기에 임대기관을 우선 적으로 이전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지방이 소멸위기에 있다.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만이 수도권 병을 고칠 수 있다. 먼저 수도권의 임대청사 기관을 혁신도시 내 공실과 산업기반을 연계한 과학·산업 임대기관 유치에 나서야 한다. 지방소멸 방지는 이 도지사의 수도권 병 치유 전략 성공을 위해 도민들이 힘을 보태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