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정부 초청으로 오는 16일부터 1박 2일간 일정으로 방문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이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2019년 6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오사카를 찾은 이후 4년 만이다.
한일의 향후 관계에 매우 중요한 시점에 윤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한다. 12년간 중단됐던 한일 양자 정상 교류가 재개되고 한일관계 개선과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양국이 과거의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안보, 경제, 사회문화의 다방면에 걸친 협력이 확대되고 양국 국민 간 교류가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중 패권 경쟁 나날이 가속화되고 기존 세계 안보·경제 질서가 빠른 속도로 와해·재편되고 있다.
북한의 핵 공격 위협에 따른 심각한 안보위기를 맞아 기존의 한·미, 미·일, 그리고 한·미·일 안보협력 체제의 업그레이드가 불가피한 상황에 놓여 있다. 따라서 지금 한·미·일 협력 체제의 약한 고리가 되는 한·일 관계의 개선은 '선택 아닌 필수'로 부상해 있다. 한·일 양국 정부 모두에게 주어진 시대적 사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일본을 한국의 경제·안보 및 글로벌 리더십 파트너로 바라보는 기본자세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한·일 관계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는 강제징용 피해 보상해법을 포함한 윤석열 정부의 '한·일 관계 개선 이니셔티브'가 나온 것은 시의적절하다.
정부가 제시한 징용 피해 보상방안에 대해서는 국민 다수가 부정적 의견으로 나타났어도 일 부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7명이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인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은 과거 수차례에 걸쳐 정제되고 절제된 수사(Rhetoric) 차원의 사죄를 했다. 1970년 12월7일 당시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가 폴란드 바르샤바를 방문해 '게토 봉기 영웅 기념물' 앞에서 헌화하다 갑자기 무릎을 꿇고 사과해 세계가 감동했다. 일본 내는 정부가 바뀔 때마다 뒤집는 한국에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는 여론이 많다는 것을 안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미국을 위시한 세계의 시선이 집중돼 있다. 진정성이 배어있는 윤석열 이니셔티브에 대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감동 있는 화답'을 기대한다. 1970년 이후의 독일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