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앞으로 총선이 다가오면서 신당설이 꿈틀하고 있다. 여당과 야당을 오가면서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종인 전 위원장이 18일 "양당은 우리나라가 당면한 여러 문제를 전혀 해결할 능력이 없다"고 밝혀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둔 발언이 아닌지 정치권이 긴장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다른 미래를 위한 성찰과 모색 포럼` 토론회에 좌장으로 참석해 "기존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얘기할 계기는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금태섭 전 의원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총선에서 30석 정도를 차지할 수 있는 정당이 나타난다면 한국 정치를 밑바닥부터 바꿀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론조사에서 야당이 다소 앞서기는 하지만 양당 모두 민심이반이 심각해 신당 창당으로 입을 타격이 크기 때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전위원장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사태를 겪으면서 양극화가 시작됐는데, 두 정당이 10년씩 집권하면서 양극화 문제를 입으로 얘기했지만 문제는 하나도 해결하지 못했고 오늘날 양극화는 더 심화 되는 모습"이라고 지적하고 "과연 우리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것인가에 굉장히 회의를 가지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전 위원장은 "우리나라 정당의 문제는 집권당이 돼도 정당이 대응을 못 하고 대통령 얼굴만 보는 정당이 되는 것"이라며 "대통령은 임기 동안 약속을 어떻게 실천할 건지를 노력해야지, 쓸데없이 욕심이 생기니까 당을 내 걸로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고 쓴소리를 쏟아냈다.  그러면서 "87년 체제에서 국민의 여망이 직선제를 원하기 때문에 헌법 개정을 했는데, 결국 대통령의 막강한 권한이라는 게 오히려 국정운영에 큰 차질을 빚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그는 또 "지금은 집권자 의지와 힘만 갖고는 되는 게 아니다. 대한민국 경제가 60~70년대에는 가능 했지만 이제는 일반 대중의 구조가 새로워진 것"이라며 "이런 구조에 적응할 수 있는 정당이 돼야 하는데, 우리나라 정치 현실은 여당이 되면 대통령당을 만들어버리는데, 남는 게 아무 것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토론은 총선을 앞둔 시점에 열려 예사롭지 않다. 박근혜 정부의 탄핵과 문재인 정부의 결과에 대해 실망이 표출된 것이다. 지금 윤석열 정부의 저조한 지지율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국민들은 실패한 정권의 기억들이 반복적으로 축적되어 마음속 깊이 좌절감과 불신이 쌓여 있다. 신당 창당 빌미를 준 양당은 정치실패에 대한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