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미국 국빈 방문길에 오른다. 5박7일 방문 기간에 한미 정상회담과 국빈 만찬, 하버드대 연설, 미 상·하원 합동 의회 연설 등 다양한 일정이 예정돼 있다. 구체적으로 한미 연합방위 태세 공고화 및 확장억제 강화, 경제 안보협력의 구체화, 미래세대 교류 확장. 글로벌 이슈 공조 강화 등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이 동맹 70주년에 걸맞은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어느 역대 회담 못지않게 중요한 시점에 열린다. 한미 간에는 굵직굵직한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무엇보다 한국 입장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양국 간 협력 강화가 절실하다. 북한은 최근 고체연료를 사용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 발사했고, 정찰위성 발사까지 예고했다. 특히 고체 연료 ICBM은 한미의 킬체인 등 `3축 체계`로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의 핵 도발에 맞서 미국의 확장억제를 실효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   한미 양국이 글로벌 이슈에서 어떤 식으로 협력을 강화할지도 관심사다. 이번 방미를 앞두고 진행된 윤 대통령의 외신 인터뷰 내용이 알려지면서 중국·러시아와의 관계가 급속도로 얼어붙고 있다. 중국은 인터뷰 내용 중 대만 관련 발언을 겨냥해 연일 오만하고 날 선 반응을 보였고, 러시아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에 노골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다.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는 불변의 상수다.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실리외교를 추구하는 지혜를 발휘했으면 한다.   한미 간에는 정상 외교로 풀어야 할 경제 분야 현안도 적잖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 등의 적용에서 우리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미국 정부를 설득해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문제도 그중 하나다. 한국의 재계 총수와 기업인들이 이번 방미에 대거 동행하는 것은 경제 협력 분야가 중요하고 그만큼 성과에 대한 기대도 크다는 얘기일 것이다. 여러 분야에서 방미 성과를 내야 할 상황 앞에 윤 대통령의 어깨가 무거울 것으로 짐작된다. 성과에 대한 부담을 털고 냉철하고 신중한 자세로 임했으면 한다. 윤 대통령에게 최고 수준의 예우를 하는 미국도 그것에 맞게 성의 있는 자세로 회담에 임하기를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