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들은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이다. 학령인구는 2024년도까지 급격히 감소해 미충원 인원이 약 10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지방대 입학정원이 약 29만 명임을 고려하면, 1/3이 넘는 수치다.   지방대 위기 심화는 2021년을 기점으로 대학 입학 연령 인구(만18세)가 입학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하면서 전체 대학의 신입생 미충원 인원이 4만 명을 넘으면서 시작됐다. 특히 미충원 인원의 75%가 지방대로, 저렴한 등록금과 지역 대표대학으로서 지역인재 유치에 어려움이 덜했던 지방거점국립대조차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학령인구 감소는 이미 오래전 예견됐던 일이지만, 이에 대한 정부 정책은 ‘대책’과 거리가 멀었다.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한 구조조정 정책조차 정원 감축 숫자에 매몰돼 국립대 통폐합, 재정지원사업과의 무리한 연계, 평가에 따른 정원 감축 등으로 지방대, 전문대의 일방적인 축소를 불러왔다.   정부의 재정 지원은 서울지역 일부 대학에 집중되었고,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정책조차 정부가 바뀔 때마다 변경되는 등 지방대 발전에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를 책임지겠다는 정부의 책임성 부재,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수도권 중심주의는 오늘날 지방대 위기를 가중 시켰다. 지방대 스스로 재정마련 다각화 등을 통해 대학을 특성화하기보다 입학정원을 확대해 등록금 중심의 대학 운영을 반복해온 결과이기도 하다.    경주지역에도 대학들이 학령인구 감소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일선 지자체에서도 지방시대를 외치고 있으나 가뜩이나 출산율이 저조한데다 청년들이 수도권의 좋은 직장, 좋은 대학 찾아 떠나버려 성공을 거둘지 의문이다. 지방대학은 지역주민과 공동 운명체로서 지자체는 인구소멸을 막기 위해서라도 대학과 상생하기 위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 대학과 시민이 협력해야 대학도 살리고 지역도 살린다. 김일윤 신임 신경주대 총장은 경주인구가 30만 명을 넘어 국회의원이 2명이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25만 명까지 감소한 것은 충격적이라며 안타까워했다. 지방대 위기는 예견된 일이다, 지방대학과 시민, 지자체가 하나 되어 협력할 때 위기를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유학생들은 유네스코가 인정한 세계적인 역사 도시 경주를 선호하고 있다. 지자체와 지방대가 머리를 맞대면 살길이 열릴 것 같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