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지방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인구소멸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사실로 증명되고 있다. 지방 인구소멸이 종국에 가서는 대한민국 소멸로 이어지기 때문에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지금 농촌은 아기 울음소리가 멈춘 지 오래다. 청년은 떠나고, 나이 많은 어르신만 남은 마을은 소멸 위기를 현실로 마주하고 있다. 농촌 이곳저곳 즐비한 빈집들은 을씨년스러운 모습으로 오늘의 시골 풍경을 대변하고 있다.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위험은 수년 전부터 지적되어왔으나 정권이 바뀌어도 대책은 미온적이다. 통계에 따르면 인구 이동 양상과 목적지를 보면 서울의 경우 지역 내 이동 비율이 60%에 육박하고 지역 외 이동 비율이 43%로 나타났다. 중소도시에서는 지역 내 이동 비율과 지역 외 이동 비율이 서울과 대조를 이뤘다.  이처럼 지방 인구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인구의 지역적 편재로 지방의 자립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 지방소멸은 코로나19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극성을 부리던 지난 3년간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늘고 지방소멸 위험이 가속화되었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해마다 새롭게 소멸 위험지역으로 진입한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이미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지자체들이 늘어난 것은 젊은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공동체의 인구 기반이 붕괴하는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한 시·군·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상황이 위중한데도 정부가 말로만 떠들어댈 뿐 지방시대 활성화 대책이 구체적이지 않은데 문제가 있다. 이제는 서울이라는 하나의 바퀴로 제자리 돌기가 아니라, 두 개 이상의 바퀴로 앞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지방이 주도하고 국가가 지원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정부의 지방시대 실현 의지에 맞추어 지자체도 경계를 뛰어넘는 협력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 국민들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희망하고 있다. 경북도가 전국의 광역단체에서 선도적으로 지방시대 활성화에 본격 활동을 펴고 있어 기대된다.  인구소멸은 지방시대 활성화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청년들을 중소도시에서 일하게 하려면 양질의 기업유치를 해야 한다. 경주시 강동에 들어설 SK 에코 플랜트의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유치와 같은 대기업들이 유치될 때 난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