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제1국가산업단지가 올해 하반기 ‘국토교통부 노후산단 재생사업 활성화구역사업’ 후보지로 지난 22일 최종 선정됐다.     구미 1산단은 기존 재생사업지구에 적용되던 개발이익 재투자(용지매각수익의 25%) 면제와 함께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건폐율, 용적률이 용도지역별 최대한도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    또한, 국가로부터 기반시설 설치비용을 우선 지원받는 등 산업단지 내 각종 특례가 적용된다.   구미 제1국가산단 재생사업 활성화구역의 사업 규모는 2만9058㎡, 사업비는 2875억 원으로 사업시행자는 구미시다.  시는 이 사업 지정으로 제조창업인프라 전 단계 구축 및 지원을 통한 밴처창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앞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혁신지구(이하 혁신지구)를 활성화구역에 포함해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기존 혁신지구사업에 ▲신산업 육성거점(실증제조 복합지구 등) ▲그린네트워크 조성(문화공원 및 광장조성) 계획을 추가해 활성화계획을 수립하며, 타당성 검증, 관계기관 협의, 국토부 장관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활성화구역으로 지정‧고시될 예정이다.   특히  제1국가산단의 활성화구역 후보지 지정은 2015년 활성화구역 제도 신설 이후 국가산업단지 최초의 활성화 구역이라는 점 과 산단의 기반시설 유지관리 수준에서 그치던 지자체의 역할에서 벗어나 정체된 산단에 변화를 주도하는 적극적 주체로 전면에 나선것에 의미가 크다.이는 최근 경직된 산업단지 관리제도를 대대적으로 재편하고자 하는 중앙정부의 정책방향에 적극 부응한 것으로, 5개의 국가산단을 보유한 구미가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산단 으로의 전환을 위한 첫 포문을 열게 됐다. 김장호 시장은 “활성화구역 후보지 지정은 구미 국가산단 내 민간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촉매제로 작용, 구미가 신공항 배후도시를 맞아 기업과 근로자 지원시설 확충, 쾌적한 산업단지 환경조성 등 청년이 다시 찾아오고 머물고 싶은 산업단지’로 탈바꿈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