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의 보전에 정성을 다하고 새로운 향토문화를 발굴하는 경주문화원이 2023 제29호 ‘경주문화’를 발간했다.경주문화는 1995년 12월, 창간한 이래 한 해도 빠뜨리지 않고 올해 통권 29호째 간행을 맞이한 것이다.경주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소개하고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소통 공간으로 기능해온 ‘경주문화’는 이번 제29호에서, ‘경주의 현재 1~4’, ‘경주의 문화재 1~2’, ‘경주의 인물 1~3’, ‘경주의 문화공간 1~2’ 등의 카테고리로 나눠 구성한 것이 눈에 띈다.먼저 ▲경주의 현재 1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2023 경주 문화예술의 현재(선애경)’, ▲경주의 현재 2 ‘또 천년의 달빛 흐르는 형산강 찾다(이영백)’ ▲경주의 현재 3 ‘걸으면서 보는 원효료의 어제와 오늘(오은주)’ ▲경주의 현재 4 ‘지속 가능한 경주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 연구 (길종구)’가 실렸다. 이어 ▲신라인의 정신에서는 ‘신라의 산과 산신(박광연)’ ▲경주의 문화재 1 ‘천마총 발굴 50년(남시진)’ ▲경주의 문화재 2 ‘양동마을의 유형문화재(이지락)’ ▲경주의 인물 1 ‘목월과 모량· 건천역(유문식)’ ▲경주의 인물 2 ‘나의 아버지 손재림(손인석)’ ▲경주 인물 3 ‘고청기념관 개관과 움틈에 끼여(박옥순)’ ▲경주의 문화공간 1 ‘건축가 손명문의 한옥 건축, '헤리티지 유와' 평론(조세환)’ ▲경주의 문화공간 2 ‘경주 국당길 복합문화공간 '플레이스 씨' 최유진 대표를 만나고(조금진)’를 싣고 있다. 이외에도 ▲해외 문화교류 ‘경주문화원의 후에시 일원 탐방 및 문화교류(김신재)’ ▲‘2023년도 경주문화원 주요 사업(고복우)’을 소개하면서 경주 고대~근현대까지의 역사와 인물, 자연과 풍광, 현재 문화 흐름과 동향을 이번호에 엮었다.조철제 경주문화원장은 발간사에서 “2023년 한 해를 마무리하며 경주 구석구석의 문화유산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마음으로 경주문화 제29호를 발간했다”면서 “경주문화원은 동시대 문화의 발전과 진화 또한 염두에 두면서 새로운 세대들에게 고유한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취지도 함께 담았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