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최근 지역의 낙후성을 극복하기 위해 행정통합에 나선 것은 침체에 빠져있는 주민들의 입장에선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직전 시도지사시절에도 행정통합에 나섰지만 최종적으로 결렬되고 말아 깊은 실망을 가졌던 주민들은 또 한 번 기대를 가져보는 것이다.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이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지역민들이 공동체를 이루는 것은 굳이 통합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낙동강과 그 지류의 물을 나누어 먹고 살아가는 영남권은 옛부터 같은 문화, 같은 사회환경을 형성하며 살아왔다. 조선조후기까지는 경상도라는 이름으로 행정공동체를 이루었고 그 뒤 조선조말에 이르러 이 지역이 남부권 중부권 북부권으로 행정단위가 3분되기도했다가 경북과 경남으로 분리되었다. 80년대 이후 경상북도가 대구시와 경상북도로, 경상남도가 부산시 경상남도 울산시 등으로 분할된 것이다. 경상도가 같은 행정구역일 때는 외지사람들은 모두 경상도사람 혹은 영남인이란 이름으로 동질성을 가진 주민으로 보아왔다가 분도가 되면서 지역 간 경쟁은 물론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현상까지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대립과 경쟁이 서로가 윈윈하는 발전의 동력이 되고 지역의 공존공영을 가져왔다면 지역의 행정분할체제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지역분할이후 실시된 지방차지제는 각 지역의 발전이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한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분도이후 실시된 지방자치는 전국 모든 지역에서 발전을 견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기 보다 한정된 지역자원의 분산과 절룩발이 자치로 인해 일부에선 지방몰락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인사 예산 등 지방권한의 주요 부분을 중앙정부가 쥐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집중의 기득권을 가진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는 가속적 발전을 지속할 수 있었다. 반면 영호남권의 자치단체들은 중앙권력에서 소외됨으로써 자치제 이전 보다 상대적으로 퇴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같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자체의 격차는 현행방식의 지자체 운영이 계속되는 한 좁혀지기 어려워질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에 진입했다지만 부의 계층적 격차가 엄청나게 벌어져 소득하위계층의 불만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으로써 사회통합의 큰 걸림돌이 되기에 이러렀다. 사화적 부를 과점하고 있는 수도권에는 인구가 집중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빈곤한 비수도권에는 인구감소를 초래함으로써 국가의 불균형과 비효율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이다. 수도권은 수도권대로 비수도권은 비수도권대로 산업,교육,복지 등에 투입되는 자원의 효율이 저하되고 결국 이러한 지역 간 불균형이 국가발전을 지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지자체 가운데 낙후된 대구 경북이 하나의 지자체로 통합되고 통합의 시너지가 후진을 극복하는 효과를 만들어낸다면 양지역의 통합작업은 지역민의 동의는 물론 정부에서도 적극 지원할 일인 것이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지금까지 대구 경북의 분할로 인해 생긴 지역민 간의 이기심이 있다면 서로간에 대승적 화합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명분의 문제인 통합 지자체의 이름을 대구로 할 것인지, 경북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제3의 다른 이름으로 할 것인지는 지역민을 상대로 한 여론 조사로 결정하면 될 것이다. 쓸데없는 고집으로 대의를 그러치는 일은 없어야할 것이다. 시군의 분할 문제 등의 합의도 객관타당하게 결정하면 될 일이다. 무엇보다 이번 통합은 결합의 시너지 효과와 함께 중앙정부의 지원 확보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