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계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전쟁(우·러전쟁)으로 인해 신냉전체제의 질서가 잡혀가고 있다. 대한민국은 문재인의 친북유화적 독재정권이 무너지고 5월 10일부터 자유민주주의 윤석열 정부가 5년간 재단할 것이다.   김정은은 지난 4월 30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돌 기념행사에서 노골적 남한 반(反)성향을 보이면서 핵미사일로 자유세계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김정은의 이러한 태도는 윤석열 정부 길들이기를 위한 공포탄이 될 수도 있지만 남한을 압박하여 북한 우위체제를 만들기 위한 포석으로도 분석된다.   1950년대 김일성이 중국 모택동 주석을 방문하여 핵무기개발에 대한 조언과 지원을 당부하자 모택동의 거절로 핵개발에 대한 꿈이 좌절됐다. 그러나 김일성은 남한을 통일시킨다는 두 가지의 계획이 있었다. 하나는 핵무기를 개발하여 북한체제를 공고히 다져 어느 나라도 북한을 얕잡아보지 못하게 하는 강성국가 건설의 꿈이고 또 하나는 남한을 흡수 통일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한미군의 철수이다.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3대 세습은 핵개발을 하면서 주한미군의 남한주둔이 남한 흡수 통일에 난제로 어려움에 봉착되자, 남한 내 북한의 추종 세력인 종북좌파에 반미운동을 가공하여 주한미군철수를 위한 투쟁이념을 선전 선동 집단시위로 증폭시켜 공고한 결속력을 다졌다.   그리고 결정적인 순간에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를 뒤집고, 현재의 남북간의 정전협정(停戰協定)을 평화협정(平和協定)으로 대처하여 주한 미군을 축출하고자 하는 야심찬 계획을 실천에 옮김으로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위협을 받고 있다.   김정은은 할아버지 김일성의 유훈대로 핵개발에 성공하여 핵미사일을 마구 쏴대며 벼랑 끝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반면 문재인 정권은 5년 내내 김정은의 비위를 맞추는 대북유화정책에 열중했다.   심지어 "삶은 소대가리" 소리를 들고도 꼼짝 못하는 국가로 전락한 것이다. 종북좌파가 활개치고 다녀도 터치하는 사람이 없다. 일부 지식인층에서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자는 자들도 있다.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바뀌면 북한이 남한을 무력침략해도 우리민족끼리의 내전이기 때문에 유엔군의 개입이 어렵다. 북한은 가공할 핵무기로 남한을 흡수 통일시킨다. 국민은 북한주민보다 더 혹독한 시련을 겪는 것은 필수적이다.  1991년 구소련의 냉전체제가 무너졌다. 소련의 위성국이던 우크라이나는 냉전시대에 세계 3위 핵무기를 소유한 핵 강국이다. 1994년 우크라이나는 미국, 영국, 러시아 등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에 주권을 인정하고, 외부 공격이 발생하면 유엔이 개입한다는 내용으로 된 `부다페스트조약`을 체결했다. 모든 핵무기를 포기하여 러시아로 넘기고 핵확산금지조약에 가입하게된 것이다.   지금 김정은은 `부다페스트조약`은 공수표며 어떤 조약이나 협약으로는 나라를 지킬 수 없다는 철학을 몸소 체험하고 있다.   김정은은 우크라이나를 관찰하면서 국제정치의 냉정한 힘의 논리에 의해 `부다페스트조약`은 한낱 불필요 한 종잇조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것이다. 국가를 지키는 힘의 원동력은 평화가 아닌 강력한 국방력 밖에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핵을 보유하고 지키고 유지하고 있는 것만이 김정은의 유일체제(有一體制)를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철학도 터득했다.   영세중립국이란 힘의 균형이 이루어질, 최소한의 힘이 있을 때 이야기다. 힘의 균형이 무너지면 강자에게 먹이로 침략당하는 것이 영세중립국의 현실이다. 만약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 핵무기를 넘겨주지 않고 갖고 있다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북한 핵개발의 일등 공신은 대한민국이다. 김대중·노무현 정권이 북한에 핵개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했고 완성하도록 일조했다. 문재인 정권은 북한이 핵미사일을 마구 쏘아도 국가안보에는 무능력하게 대처한 정부다. 윤석열 정부가 국가안보의 새싹을 키우는 것은 천재일우(千載一遇) 천만다행(千萬多幸)한 일이다.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북한의 삼각파고(三角波高)에 갇힌 우리나라는 김정은이 우·러전쟁을 통해 배운 핵 망상(妄想)이 향후 어떤 재앙으로 다가올지 불안한 상태다. 우리는 우리의 생존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자유민주주의 국가와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안보의 틀을 조밀(稠密)하게 얽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