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民譚)을 사례로, 꾸준하게 시집을 출간하는 박이도 시인이 민담의 해학으로 예리하게 되살려 오늘날의 시대정신을 밝히는 민담 시집을 최근 펴냈다.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이네(바이북스)’를 출간한 것인데 기존의 작품에 시류에 따른 신작 몇 편을 추가했다.   시인은 민담시집을 처음 낸 2002년 이후 ‘다 망해버린 개털들의 반란-병술년(丙戌年) 우화’로 증보판을 냈고, 신작을 추가해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종북좌빨 vs 수구꼴통’을 전자책으로 낸 바 있다.   우리 선조들의 민담 속에서 변모해 가는 오늘날의 시대정신은 무엇일까에 대한 시인의 오랜 고민과 통찰이 담겨 있는 이 시집에서는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우리 사회 갈등을 민담의 해학으로 속시원하게 풀어놓았다.   이번 시집은 1부 플라톤의 경고에서 ‘플라톤의 경고’ , `화천대유하세요` 등을, 2부 이현령비현령– 전자판에서 ‘직필(直筆)인지 곡필(曲筆)인지’ , `엄마 전교조 선생님이 싫어요` 등을, 3부 다 망해버린 ‘개털’들의 반란에서는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왔네’ , ‘나쁜 나라 좋은 나라’ 등을, 4부 미나리는 사철이요 장다리는 한 철 이네 에서는 ‘벼슬아치와 농부’, ‘농부와 벤호사’ 등의 시들을 엮었다.   “정치를 외면한 가장 큰 대가는/ 가장 저질스러운 인간들에게 지배당한다는 것이다.” -플라톤// 이 엄혹한 난세에 정치판을 외면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학생도, 젊은이도, 근로자도, 전문 지성인도, 종교인도, 하물며 국회의원만도 아닌/ 우리, 우리 모두입니다.// -시 ‘플라톤의 경고’ 중에서.   시인은 “근자에 와서 벌어지는 암울한 정치 현상에 잠 못 드는 밤, 플라톤의 경고문에서부터 우리 민담의 깊은 뜻을 곱씹어 본다”고 했다.   시인이 시도하는 민담시의 요체는 민담 속의 이야기 형식을 빌어 그 속의 특유의 어법들을 살려 재현하는 일이다. 더러는 민담의 몇 군데를 인용하는 경우가 있고, 일부는 그대로 소개하고 그 이야기의 줄거리에 맞는 유형대로 오늘의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재구성해 풍자하는 예도 보인다.   민담시의 주된 내용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관심을 다루면서 시인의 사회비평적인 칼럼이 민담시의 형식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충재 문학평론가는 “민담 속의 시대정신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문학을 통한 학술적 가치는 물론, 시의 영역이 어디까지 미칠 수 있는가의 시험 혹은 잣대로서의 기능도 함축하고 있다”고 하면서 “시가 품고 있는 저항성이 그 가치를 드러냄과 동시에 어떤 분야나 어떤 주제를 다룬다고 해도, 그 역할이 합당하다는 포월성 내지 초월성이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시인은 이러한 시 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그것은 그의 시대성이 투철한 까닭이기도 하거니와 시대를 읽어나가려고 몸부림치는 사명 의식이 두드러지는 까닭이다.   시인 박이도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59년 자유신문에 ‘음성’이,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황제와 나’ 가 당선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대한민국문학상, 편운문학상, 기독교문화대상, 문덕수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저서로는 ‘회상의 숲’ 등 열다섯 권의 시집과 ‘빛의 형상’ 등 다섯 권의 시선집이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