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화물연대가 지난 24일 구미시청 앞에서 출정식을 갖고 총파업에 들어갔다. 4일째 접어든 화물연대 총 파업으로 구미산단 산업체도 물류수송에 빨간불이 켜졌다.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구미 지역도 물류 중단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어 긴장감이 감돌고 있지만 28일 정부와 화물연대 첫 교섭후 합의점을 찾을시 파업중단 등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제의 영구화와 모든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고, 정부는 제도 시행에도 화물차 교통사고가 줄지 않아 예정대로 폐지해야 한다고 맞서 어떻게 합의점을 찾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4일째 접어든 총파업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의 핵심 요구사항은 안전 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차량 품목 확대 등이며, 당정이 안전 운임제를 3년 연장하기로 한 것에 대해선 화주 책임을 삭제한 `반쪽 연장안`이라고 못 박았다. 안전 운임제는 화물차의 과적·과속을 막고자 동일 거리에 동일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로, 2020년 시멘트·컨테이너 품목에 3년 일몰로 시행돼 내년 1월 폐지될 예정이다. 파업이 현실화하자 정부는 불법적 운송거부나 방해행위에 대해서는 엄정 대처해 나간다는 방침이며, 경북도와 구미시도 비상 대응에 나섰고, 경찰도 물류 수송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력을 강화했다.   한편 화물연대는지난 6월경 총 8일간 파업에 들간후 종결하는 조건으로 안전 운임제 지속 추진과 법 개정을 약속 받았지만 이후 국토교통부가 안전 운임제 도입 취지를 부정하고 합의를 파기해 지난 24일 출정식 후 재차 총파업에 들어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