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에서는 용(山)이 행룡할 때 꺾이는 각도에 따라 배합절인가 불배합절인가를 구분한다. 이것은 나경의 4층인 지반정침으로 측정하는데 지반정침은 12천간(乾·巽·艮·坤·甲·乙·丙·丁·庚·辛·壬·癸)과 12지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를 합하여 24방위로 나뉘어져 있고 나경의 360도 둥근 원판 안에 1칸을 15도로하여 24글자를 배열해 놓았다.  여기서 12지지는 음(陰)이고 8천간과 4유는 양(陽)인데 지지자를 기준으로 하여 양을 음 앞에 하나씩 배정하여 임자, 계축, 간인, 갑묘, 을진, 손사, 병오, 정미, 곤신, 경유, 신술, 건해로 음양이 서로 배합하도록 배치하였고 서로 다른 궁위끼리의 배합은 불배합 용맥이기 때문에 대부분 지기가 약해 혈지로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룡이 자계, 축간, 인갑… 등의 방향으로 행룡한다면 이것은 불배합 쌍산룡이다. 내룡을 측정할 때 쌍산으로 음양배합이 잘 이루어진 내룡인지 아니면 불 배합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감별하는 것은 진혈지를 찾아내는데 상당히 중요하다. 내룡도 음과 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생기가 충만한 용이 되고 이러한 곳이라야 땅 속에도 생기가 충만해 좋은 혈장을 만들 수 있다.  쌍산이 같은 궁(宮)으로 이루어진 배합룡이라면 일단 땅 속이 대부분 흙이라 판단되지만 해와 임, 자와 계, 축과 간처럼 쌍산이 아닌 글자사이로 뻗은 불배합룡이면 이를 잠룡(潛龍)이라 하여 땅속에는 생물을 생육할 수 없는 바위나 돌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내룡이 비록 배합룡일 지라도 이기(理氣)로 판단해, 양룡, 장생룡, 관대룡, 임관룡, 제왕룡이면, 땅 속이 고운 흙으로 이루어진 생기 충만한 곳이지만 절룡, 태룡, 병룡, 사룡, 묘룡이라면 비록 배합룡이긴 하지만 땅속은 생기를 품을 수 없는 바위나 돌 혹은 흙과 자갈이 혼합된 곳이 많다. 그리고 목욕룡일 경우 습기가 많거나 수맥이 많이 지나가는 땅이고, 쇠룡은 평지에서는 생기를 품은 길룡이나 산지에서는 생기가 없는 흉룡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산에 올라 내룡의 휘이고 꺾인 지점마다 패철4층 지반정침으로 내룡을 측정하였더니 모두 수국(水局) 내에서 신술(관대룡)→술건(잠룡)→건해(목욕룡)→해임(잠룡)→임자(장생룡)→자계(잠룡)로 판단되었다. 그러면 먼저 잠룡(불배합)인 술건, 해임, 자계룡은 생기가 없는 땅이므로 혈 자리를 만들 수 없고 건해도 목욕룡이니 버리고 임자(장생룡)나 신술(관대룡) 내에서 혈 자리를 찾아보아야 한다.  또 옛 묘가 어떤 용에 자리 잡고 있는가를 알려면 혈장에서 보아 먼저 물이 흘러 나가는 곳 즉 수구의 방향을 정확히 판별해서 국(局)을 정하고 그 다음 이기적으로 땅의 길흉을 판단한다. 이것은 패철을 묘의 뒤쪽 입수처에 가지런히 올려놓고 먼저 묘 쪽으로 뻗어 온 내룡(입수맥)의 방향을 측정하는데 여기서 잠룡(불배합)이라면 일단 흉한 자리이다.  배합룡이라면 그 중에서도 12포태법으로 판단해서 양룡, 장생룡, 관대룡, 임관룡, 제왕룡이 되어야 생기를 품은 길한 용(자리)이 된다. 이러한 곳이라야 묘를 쓴 다음에 후손들의 발복을 기대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