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상북도의 행정 통합 논의가 22일 각 단체의 실무자 접촉을 가지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이날 경북도 유정근 정책기획관과 대구시 김진혁 정책기획관은 경북도청에서 만나 23일 또는 24일 실무 협의 일정과 참여 부서 등을 논의한 결과 경북도는 23·24일 모두 실무 협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대구시는 참석 부서장들의 일정 등을 확인한 후 날짜를 통보해주기로 합의했다.경북도는 기획조정실과 지방시대정책국, 자치행정과, 대변인실, 경북연구원 정도가 실무 협의에 참석하기로 했으며 대구시도 비슷한 수준을 고려하고 있다.경북도 관계자는 “오늘 각 단체의 대표 부서 차원에서 기획조정실 국장급이 만나 이번 주 실무 협의와 앞으로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며 “통합이 대구·경북만의 개별 사안이 아니라 국가 차원 지방 행정체계 개편과 연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도에서는 지방시대정책국을 실무 협의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경북도와 대구시는 실무 협의에서 통합 내용, 일정, 방법과 TF 구성 등 향후 방향을 논의해나갈 예정이다.경북도는 21일 행정안전부를 방문해 시도 실무협의와 별도로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중앙 차원의 지원책과 계획, 로드맵 등 통합 관련 방향성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경북도는 대구시와 경북도,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 4개 기관장 회동 이후에는 기관별 TF가 정식으로 출범할 것으로 보고 있다. 4개 기관은 다음 달 초에 기관장들이 회동하기 위한 날짜와 장소 등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관장 회동 후에는 통합 추진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올해 내 시도의회 의결과 내년 상반기 중 통합 관련 특별법 국회 통과,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제시했다. 또 이 도지사와 홍 시장이 특별법을 만들어 통합을 추진하는 데 의견을 같이함에 따라 특별법에 완전한 지방자치를 위한 권한과 인센티브, 절차 등을 담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이 도지사는 경찰, 소방, 교육, 이민, 환경, 산림 등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권한과 재정을 지방에 이양하는 완전한 지방자치, 완전한 자치정부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홍 시장은 직할시 개념을 부각해 행안부 지휘를 받지 않고 서울특별시와 같이 총리실로 지휘체계를 바꾸고, 인구 500만의 대구직할시로 만들면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