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도 없고 사랑도 없고 기쁨도 없다눈도 없고 코도 없다밑 빠진 나날 입도 없다 입도 없다아아 사랑했던 너의 얼굴도 없고 기차도 없고 다리도 없고건너야 할 다리도 없고 오늘도 없다오늘도 없는 것들을 위하여 시를 쓴다시를 어떻게 쓰나망할 놈의 시를쓸 줄 안다면 얼마나 좋을까없는 얼굴이 나를 감싸면 없는 해가 생기고 없는 풀이 생기고 없는 시가생길 테니까없는 내가 마침내 없는 기차를 타고 없는 너를 찾아 가면 얼마나 좋을까그런 걸 믿고 살아 온 게 말짱 애들 장난 같고그런 걸 믿고 살아온 게망할 놈의 시시 같다! -이승훈, `망할 놈의 시`   아이쿠 `이 망할 놈의 시` 어떻게 쓰나, `오늘도 없는 것들을 위하여 시를 쓴다`, `시를 쓸 줄 안다면 얼마나 좋을까` 화자인 시인의 탄식처럼 들리는 이 시는, 유명한 시인인 이승훈의 시다. 시 속의 화자는 시인이다. 괜히 없는 시를 붙들고 지난 세월을 도깨비 장난에 춤추고 온 것은 아닌가 하고, 그렇게 살아 온 자신의 삶이 애들 장난 같다고 시인은 탄식한다. 시란 놈은 원래 `눈도 없고 코도 없다.` 시란 놈은 空이었다가, 色이었다가 저것이 아니었다가 이것도 아니었다가, 결국 시라고 말하는 순간 시가 아니요, 시가 아니라고 말하는 순간도 시가 아니다.   이 망할 놈의 시는 `건너야 할 다리도 없고 오늘도 없다` 없는 것도 아닌, 있는 것도 아닌 세계가 바로 시 세계다. 보이는 것도 아닌, 보이지 않는 것도 아닌 경계가 시다. 들리는 것도 아닌, 들리지 않은 것도 아닌 세계가 시 세계이다. 시는 정의 하는 순간 사라져 버린다.   `시는 용기도 없고 사랑도 없고 기쁨도 없다`, `눈도 코도 밑빠진 나날의 입도 없다`, `오늘도 없는 것들을 위하여 시인은 시를 쓴다`   `망할 놈의 시`는, 시란 무엇일까? 고민하는 이승훈 시인의 시론이 담겨 있는 시다. 시인은 단순히 시를 쓰는 사람이 아니고, 시를 사는 사람이다. 이 시는, 반성적인 시쓰기의 태도가 보이는 시인의 진솔한 고백이 드러난 작품이다. 시는 언어로 지은 집이다. 또한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언어는 의미를 떠날 수 없다. `없는 내가 마침내 없는 기차를 타고 없는 너를 찾아가면 얼마나 좋을까`, `망할 놈의 시를 쓸 줄 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걸 믿고 살아 온 게 망할 놈의 시/ 시 같다!`, `시 같다!` 이 통쾌한 반전을 보라. 마지막 반전 부분이 이 시의 묘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