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동원 아픔이 서린 일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제4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회의를 열고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등재를 결정했다. 등재는 21개국으로 구성된 위원회 전원의 동의로 이뤄졌다. 위원국인 한국 정부는 그간 강제노역 피해 현장이라는 역사성을 이유로 사도광산의 등재에 반대해왔지만 이번에는 동의해줬다. 일본 정부가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 요구를 수용하고 현장에 조선인 노동자와 관련한 전시물 사전 설치와 추도식 매년 개최 등을 약속한 데 따른 것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 말기인 1939년부터 1945년까지 당시 조선인 1천500여명이 노역에 강제동원됐던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이다. 그런데 일본 측은 지난해 등재를 신청하면서 대상 기간을 에도시대(1603~1867년)로 한정하고 17세기 세계 최대의 금 생산지였다는 점만 부각했다. 강제동원 역사를 지우고 한국 측의 반대를 피해 보려는 꼼수였다. 그러나 이는 `완전한 역사`를 반영하라는 세계유산 등재 원칙을 위배한 것이다. 우리는 일본의 말만 믿었다가 뒤통수를 맞았다는 평가를 받는 2015년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 등재 사례를 기억한다. 이번에도 약속 불이행이 되풀이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적지 않다.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다. 강제동원의 `강제성`이 일본 측 전시물이나 추도식 개최 과정에 얼마나 부각될지 여전히 불분명한 측면이 남아 있다.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의 일본 대표 발언이나 관련 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확인된 전시물에 조선인 노동자가 `강제 노동`에 처했었다는 명시적 표현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은 약속대로 강제동원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후속 조치를, 그것도 진정성 있게 취해야 한다. 그것이 한일관계 복원과 협력 속도를 높이는 길이다. 우리 정부도 일본의 약속 이행을 더 강하게 압박하고 감시해야 할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