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수원이 방사성폐기물 운송선박의 원할한 항만접안을 위해 월성원전내 기존 접안 시설에 대한 일부 증개축 공사를 앞두고 지역 어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가운데 지난달 30일과 5일 2차례에 걸쳐 가진 협상이 연거푸 결렬됐다.
2차례 걸친 협상 결렬로 방폐장 건설사업이 수개월째 허가가 돼 본 공사가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경주시 양남·북과 감포 등지의 동 경주 어업인들로 구성된 `방폐장 건설저지 어업인 비상대책위’는 지난달 28일과 29일 이틀 동안 방폐장건설처와 월성원전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30일에는 한수원측과 협상을 가졌지만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고 결렬됐다.
주민들은 방폐장 건설과 관련 “한수원이 어민들과의 합의를 어기고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날 주민들은 방폐장 항만공사 중 방파제의 임의 연장 축조를 비롯해 방폐물 운반선의 임의 증톤과 운항을 백지화하라는 주장이다.
주민들은 한수원은 당초 방파제를 50m 연장하고 운반선을 1800t으로 하겠다고 했으나 협의도 없이 방파제를 100m 연장하고 운반선도 2600t으로 늘렸다고 항의하고 방폐물 운반선의 항로개설 타당성에 대해서도 즉각 재 조사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한수원측은 “방파제 연장은 내항의 안전성을 위한 것이며 운반선 증톤 문제의 경우 수심이 낮은 서해안 운항을 위해 배 밑 모양을 V자에서 U자로 바꾸면서 용적률이 늘어났을 뿐 실제 방폐물 운반 규모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또 `이날 제기된 항로개설 문제도 관련기관에 공식 질의했지만 항로 지정 등이 필요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