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국토해양부에서 KTX 김천 구미역 신축공사를 KTX 김천역 공사로 명칭 변경해 사업을 착공함에 따라 당초 KTX 김천 구미역에서 구미가 빠진 KTX 김천역으로 변경 될 우려가 있어 강력 대응키로 했다. 사업 명칭이 변경된 소식을 접한 구미 지역 시민들과 상공인, 시민단체, 지역출신 시․도의원들은 결사 반대하며 크게 분노하고 있다. 특히 이지역 출신 김성조 국회의원(구미 갑)과 김태환 국회의원 (구미 을)은 국토해양부 등 관계기관에 항의하면서 약속한 당초대로‘김천 구미역’명칭을 사용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구미 지역 상공인들과 지역인사들은 위 내용의 경위파악을 위해 KTX 김천역 기공식 이전인 다음주 초 경북도와 국토해양부를 항의 방문해 당초 국토해양부에서 결정된 김천 구미역󰡓명칭을 환원할 것을 강력히 요구할 예정이다. 지방분담금은‘KTX 김천・구미역사’가 최종 결정될 당시 국토해양부와 경북도의 약속에 따라 구미시는 KTX 김천 구미역사 건립비에 대해 구미시가 21억원 분담(구미시와 김천시 분담율 6:4)을 협의한 바 있다. 당시 시민들은 구미시 예산을 명분 없이 왜 김천에 투자하느냐는 반대 목소리가 컸음에도 양도시간의 균형 발전과 역이용 인구 대부분이 구미시민인 것을 감안해 지역분담금을 부담키로 했다. 구미시에서는 지난 2006년 7월 26일 고속철도 기본계획변경(안) 관련 의견을 내면서 지방비 분담 비율에 대해 고속철도 역사명칭에 구미 명기를 할 때 지방비 분담을 이행하겠다는 조건부 의견을 제출한 바가 있다. 구미시는 당초의 이런 조건이 이행될 경우에 한해 분담금을 부담할 수 있으며 역사명칭이 김천역으로 될 경우에는 역사 건립 분담금을 한푼도 분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북도에서 계획하고 있는 KTX역사 진입도로 사업비에도 분담비율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계획을 한 바 있으나 구미시는 진입도로 개설에 대하여도 부담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구미시민들은 구미지역에 KTX김천・구미역사가 준공되어도 구미역은 현행대로 KTX가 정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