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의 연안침식이 빠르게 진행, 지반 붕괴로 인한 가옥 파손 등 위험지역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1일 경북도에 따르면 한국해양연구원에 ‘연안침식 실태조사 및 대응전략 연구용역’을 의뢰한 결과 도내 울진과 영덕 등 동해안 5개 시ㆍ군에서 연안침식이 발생한 지역은 모두 47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백사장 침식이 38곳(울진 17곳, 영덕 8곳, 포항 8곳, 경주 5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월파ㆍ침수 등에 따른 재해위험 6곳, 호안 붕괴 2곳, 토사 포락(해일에 따른 유실) 1곳 등으로 나타났다. 침식 원인은 어항과 직립호안 건설이 41곳으로 대부분을 차지, 인재에 의한 훼손이 동해안 자연환경파괴를 가속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해양연구원은 “바다모래 채취, 인공 구조물에 의한 해류 방향 변화,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등으로 동해안 연안침식이 심각한데다 침식으로 인한 연안지역 가옥 등 파손과 유실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 “경북 동해안은 급경사 지역이 많아 연안침식으로 지반이 무너질 우려가 있는 곳은 주변 환경과 맞는 친환경 공법으로 축대 등을 쌓아 하루빨리 보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백사장 유실처럼 해변 구조가 바뀐 연안 지역은 인공구조물을 만들어 유실 영향을 줄이는 강성공법보다 해마다 모래를 보충하는 연성공법이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제안했다 경북도는 오는 10월 경북 동해안 연안침식 관련 최종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대로 국토해양부의 ‘제2차 국가 연안정비 10개년 계획(2010∼2019년)’에 적극 반영시킬 방침이다. 경북도 환경해양산림국 관계자는 “동해안 연안침식 관련 최종 연구결과가 나오면 위험 지역에는 예산을 우선 투입해 지반붕괴를 막겠다”며 “앞으로 동해안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아 연안침식을 최소화 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