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2년까지 총 31조원의 재원(공공 15조원, 민간 16조원)이 '저탄소 녹색성장'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중 5조원은 핵심 녹색기술을 확보를 위한 연구 및 개발(R&D) 투자 확대에 쓰인다. 19일 확정된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유망기술을 전략적으로 선정해 R&D 역량을 키운다는 방침을 세우고 독자개발·국제공동연구·기술제휴·해외우수과학자 유치·인수합병(M&A)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아울러 중복투자 방지와 효율화를 위해 '기후변화 대응 중장기 연구개발 마스터플랜'을 올해 안에 수립하고 투자 우선순위 및 R&D 포트폴리오를 설정해 전략적으로 재원을 배분키로 했다. 또 민간기업은 태양광 등 단기성과가 기대되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정부는 세제지원 등을 통한 기반조성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R&D에 주력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특히 정부는 ▲박막태양전지 ▲대형풍력발전기 ▲LED등 고효율조명기기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목질계바이오에탄올 생산기술 ▲수소제조저장 ▲연료전지자동차 ▲탄소중립주택 및 단지모델 ▲CO2 포집 및 저장(CCS) 등의 주요핵심기술을 2012년까지 상용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화석연료 대체 등 새로운 에너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온실가스 감축 기술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민간 R&D 투자 촉진을 위해서는 연구비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설비투자 세액공제율을 현행 7%에서 10%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산·학·연·관 R&D 협의체 운영을 통해 의사소통을 활성화하고 민간기업의 의견을 R&D 정책, 예산 배분 등에 적극 반영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의 시설 확충·기술개발·보급을 위해 2030년까지 약 111조원(설비투자 100조원, R&D투자 11조원) 투자키로 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2006년 2.24%에서 2012년 4%, 2030년 11%, 2050년 20% 이상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원자력 설비비중을 2007년 26%에서 2030년 41%로 확대하고, 원자력 발전비중을 2007년 35.5%에서 2030년 59%로 확대키로 했다. 아울러 한국형 원전 설비 및 건설기술(인력) 수출을 확대키로 하고 수출목표를 2012년 1조1700억원(2007년 5800억원)으로 설정했다. 정부는 미국·중국·신흥 건설시장을 중심으로 기자재와 기술용역에 대한 수출을 확대하고, 원전 메이저 공급사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한 원전핵심 기자재 및 기술용역 수출을 추진키로 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연료전지·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수소에너지·태양광·태양열·바이오·풍력·수력·해양·폐기물·지열 등 11개 분야로 구분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