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의 군살을 빼겠다고 선언한 이명박정부가 대통령실 비서관급은 줄인 대신 그 밑에 선임행정관들은 충원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와대는 19일 '참여정부 대비 공무원 정원 현황' 자료를 공개하고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의 대통령실 인력 구조를 조목조목 비교했다. 자료에 따르면 참여정부 시절 531명이던 대통령실 직원은 75명이 줄어 현재 456명이다. 대통령실 직원은 크게 ▲정무직 ▲비서관·선임행정관 등 고위공무원단 ▲3~5급 행정관 및 6~9급 행정요원 ▲기능직으로 나뉜다. 이 중 정무직은 13명에서 9명으로 줄었다. 정부조직 개편 과정에서 대통령실을 '슬림화'한 결과 수석비서관 직제 중 4개가 줄어든 것. 현재 정무직은 대통령실장, 수석급인 대변인을 비롯해 7수석(정무·민정·외교안보·경제·국정기획·교육과학문화·사회정책수석비서관) 등 모두 9명이다. 수석급인 홍보기획관은 비서관으로 발령난 상태라 고위공무원단에 속한다. 참여정부 시절 84명이던 고위공무원단은 3명 줄어 81명이 됐다. 다만 비서관 대신 실무진격인 선임행정관을 대폭 늘렸다. 기존에 53명이던 비서관은 11명 줄였고 31명이던 선임행정관은 39명으로 늘였다. 마찬가지로 실무 행정을 담당하는 3~5급 행정관들은 14명 증원해 196명이 됐다. 반면 67명이던 6~9급 행정요원들은 37명으로 대폭 줄였다. 185명이던 기능직도 133명으로 줄였다. 감축율 순으로 보면 ▲6~9급 행정요원 44.8% ▲정무직 30.8% ▲기능직 28.1% ▲비서관 20.8% 순이다. 선임행정관과 3~5급 행정관을 제외한 모든 구성원을 대폭 줄인 셈이다. 청와대가 이날 공개한 자료는 민주당 양승조 의원이 전날 국회 운영위원회 대통령실 업무보고 관련 보도자료를 통해 "현 정부 출범 이후 고위공무원단은 늘어난 반면 기능직은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요지로 비판한 것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청와대는 "기능직 감축율은 28.1%로 정무직(30.8%) 및 비서관(20.8%) 감축율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현재 대통령실 직원 중 기능직이 차지하는 비중이 29.2%인데, 이는 참여정부의 34.8%에 비해 과다하게 줄어든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 "전체 대통령실 직원 중 단순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행정요원(12.6%)과 기능직(34.8%)이 차지하는 비중이 참여정부의 경우 47.4%에 달해 국정방향을 수립, 추진해야 할 대통령실에 부합하지 못한 측면이 있어서 정원을 조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