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7월중 대구경북지역 금융기관 수신 소폭증가 여신 증가세 둔화됐다고 18일 밝혔다.
대구경북지역 수신은 1878억원 늘어났으나 전월 2099억원에 비해 증가폭은 축소했다.
저축성예금은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유예금이 큰 폭 감소로 전환된 데다 정기예금도 전월에 이어 줄어들면서 감소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요구불예금은 증가폭이 확대됐고 단기시장성 수신은 CD 발행규모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크게 증가했다.
반면 비은행기관 수신은 전월 1789억원에서 969억원으로 특정금전신탁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금융과 우체국예금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등의 증가폭이 정기예탁금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축소되고 신탁계정이 특정금전신탁을 중심으로 감소로 전환됐다.
이와 함께 펀드 판매액이 전월에 비해 239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월 이후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유입 둔화가 이어진 데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률 하락의 영향으로 채권형펀드의 감소폭이 확대된데 기인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7월중 대구경북지역 금융기관의 여신은 지난달 9846억원에서 7216억원으로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대출은 전월과 비슷한 증가세를 보여지고 있으나 시설자금대출은 전월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은 전월 2327억원에서 257억원으로 주택관련 대출 감소로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비은행기관 여신도 전월 3078억원에서 2832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금융의 경우 영농자금 대출 수요가 둔화되면서 전월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축소되고 신용협동조합도 증가세가 둔화됐다.
상호저축은행은 증가로 돌아서고 신탁계정, 새마을금고 등은 소폭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대율 및 연체율은 전월보다 0.7%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체율은 반기결산의 여향으로 낮아졌던 줜월에 비해 0.27%p 상승한 0.99%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