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정부 산하기관 등에서 취업 준비생들이 일정 기간 전일제나 시간제로 근무하는 '청년인턴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21일 노동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은 지난 19일 강만수 개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9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부문 청년인턴제 도입 방안'을 논의하고 내년부터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 동안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가 대학이나 대학원 재학생을 대상으로 방학기간을 활용해 1~2개월 동안 인턴으로 채용하는 인턴십을 운영해 왔지만 정부가 나서서 인턴제를 추진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정부는 1년 단위로 고용 계약을 맺고, 급여는 월 100만원 정도의 기본급에 시간외수당을 별도로 지급하되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부 관계자는 "공공부문의 경우 행안부에서 계획을 짜고, 일자리창출특위에서 논의한 뒤 위기관리 대책회의에서 논의하고 확정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며 "10월 중 구체적인 채용 규모와 운영방식 등 세부 내용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