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이 내년 1월 출범하는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방폐물관리공단) 유치에 본격 나서고 있다.
경주출신의 정종복 전 국회의원은 23일 국회에서 경북출신 국회의원들을 만나 "방폐물 처리 업무가 한수원에 있었던 만큼 방폐공단은 당연히 방폐장이 들어서는 경주로 와야 한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또 이인기 의원 등 6명으로부터 방폐공단 경주 유치 지지 서명을 받았으며, 24일은 경북지역 국회의원 모두에게 서명을 받을 계획이다.
경주 출신 도의원들도 서명운동에 착수했다. 경주시의회는 조만간 임시회를 열어 '방폐공단 경주 유치 촉구 결의안'을 채택, 정부에 제출키로 했다.
경주지역 5개 JC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달 두차례에 걸쳐 대규모 시위를 벌인데 이어 방폐물 관리공단 찾기 범시민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중저준위방사성 폐기물처분장 및 4기 및 중수로원전과 신월성 원전 1, 2호기 등 원전과 관련한 위험시설은 모두 경주에 떠맡기고 실질적인 운영기관인 방폐물관리공단을 영구 방폐물 처분시설이 전혀 없는 서울이나 경기도에 설립할 경우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수원에서 업무가 분리돼 내년 1월 업무를 시작하는 방폐물관리공단은 기금이 7조3천억원에 달하고 매년 3천억~5천억원의 기금이 적립되는 거대 공기업으로 중저준위방폐장 결정 당시 한수원 본사를 인센티브로 제시한 것처럼 고준위방폐장 선정시 인센티브로 제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